기획 & 캠페인
한반도 대기오염 日ㆍ태평양의 40배
상태바
한반도 대기오염 日ㆍ태평양의 40배
  • 연합뉴스 master@yonhapnews.co.kr
  • 승인 2007.03.01 0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반도 해상 대기 중 이산화황(SO2) 평균 농도가 중국발 오염물질의 영향으로 일본 근해나 태평양 지역보다 최고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국내에서 내린 산성비에 포함된 오염물질인 황(S) 성분중 최고 94%가 중국에서 발생, 이동해 온 것으로 분석됐다.

1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 해상 대기(1.0~1.5㎞ 상공)중 이산화황 농도는 평균 2.0~2.3ppb로 일본 근해 농도 0.58ppb, 태평양 지역 농도 0.2ppb에 비해 3.7~10.8배로 높았다.

우리나라 해상 대기 오염상태는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건너오는 오염물질 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됐으며 지난해 10회 측정 중 7회에 걸쳐 이산화황 농도가 급증했는데 이는 중국서 이동한 오염물질 탓인 것으로 분석됐다.

기류가 중국 동중국해를 포함, 중남부 공업 지역을 거쳐 대기오염물질을 옮겨온 경우 이산화황 농도는 6.5~8.0ppb 수준에까지 이르러 일본 해역이나 태평양보다 최고 40배 이상으로 높아지는 반면 여타 지역을 거쳐 기류가 이동하면 농도가 0.4~0.7ppb에 불과할 정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반도 대기중 질소산화물(NOx)는 1.64~4.79ppb로 일본과 태평양 지역 0.33~1.56ppb에 비해 다소 높고 기류가 중국 산둥반도와 발해만 연안, 동중국해를 거치면 농도가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관측됐다.

오존 농도는 기류가 중국 중남부를 거치면 2배 가량으로 높아졌다.

또 항공기 관측 결과(5회) 우리나라 지상에 먼지처럼 떨어지는 오염물질 황의 건성 침적량 중 7~19%, 비에 섞여 지상으로 떨어지는 황의 습성 침적량 중 51~94%가 중국에서 발생,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의 건성 침적량 중 우리나라 자체에서 발생한 기여율은 74~90%, 습성 침적량 중 자체 기여율은 5~33% 수준이다.

습성 침적량 중 봄철의 경우 중국 남부의 영향이 73~86%, 여름철은 중국 중부의 영향이 50~79% 등으로 기상 조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지역이 달랐다.

건성 침적량은 지표 농도, 습성 침적량은 산성비와 관련이 크며 대기오염물질인 황은 산성비를 야기하는 물질로 토양의 산성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