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기술보증·신용보증·산업은행 등 금융공공기관 전체 직원의 절반이 '책임자급'
상태바
기술보증·신용보증·산업은행 등 금융공공기관 전체 직원의 절반이 '책임자급'
  • 김국헌 기자 khk@csnews.co.kr
  • 승인 2018.03.27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DB산업은행(행장 이동걸)과 수출입은행(행장 은성수), IBK기업은행(행장 김도진), 신용보증기금(이사장 황록) 등 주요 금융 공공기관의 직원 가운데 책임자급 간부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은 책임자급의 비중이 60%가량을 차지하는 기형적인 구조를 보였다.

기획재정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IBK기업은행과 KDB산업은행신용보증기금, 수출입은행, 기술보증기금(이사장 김규옥), 주택금융공사(사장 이정환), 예탁결제원(사장 이병래) 등 7개 금융 공공기관의 총 직원 수는 2만773명으로 집계됐다.

금융공공기관 표표표푶표....JPG
▲ 자료: 기재부


이 중 책임자급으로 분류되는 4급 이상과 G2급 이상(임원진 포함)의 직원 수는 1만379명으로 전체 직원의 49.9%를 차지했다.

2016년 말 51.3%과 비교하면 소폭 하락했지만 전체 직원의 절반이 책임자 급이어서 '항아리형 구조'가 여전히 심각한 상태다.

공공은행들은 정규직 직원을 1~6급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고 수출입은행과 예탁결제원은 G1~G3 등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4급 이상과 G2 이상이 책임자급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부부장이나 팀장 이상의 직책을 맡고 있다. 

책임자급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기술보증기금으로 63%에 달했다. 전체 직원 가운데 일반직원은 460명에 불과한 데 비해 책임자급은 792명이나 되는 '가분수'꼴 구조를 이루고 있다. 

신용보증기금도 일반직원은 977명, 책임자급은 1457명으로 관리자 비중이 59%를 기록했다.

산업은행이 55.9%로 그 뒤를 이었다.

기업은행, 주택금융공사, 예탁결제원은 40%로 상대적으로 책임자급 비중이 낮았으며, 수출입은행은 34%로 가장 낮았다.

기술보증기금 관계자는 "현재 인력구조가 지속되면 몇년 후에는 임금피크제 적용대상이 지금부터 훨씬 많아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신규채용을 늘리면서 대비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주요 금융공공기관 책임자급 비중 추이.JPG
▲ 자료: 기재부. 전체 직원 수(임원, 정규직, 무기계약직, 별도직 등)에서 차지하는 책임자급(4급 이상) 비중.


항아리형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건비 부담 증가로 금융 공공기관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시중 은행들이 희망퇴직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면서 항아리형 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것과 달리, 금융 공공기관들은 신규 채용만 늘리고 있어 인력구조 개선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SC제일은행, 씨티은행 등 6개 은행의 직원수는 지난해 9월말 기준 6만3516명으로 2012년 6만3159명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7개 금융 공공기관들의 전체 직원 수는 최근 5년새 26.6%(4658명)나 늘어 인적 구조조정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퇴직자에게 최대 36개월 치 급여를 특별퇴직금으로 주는 민간은행에 비해 공공기관의 퇴직금은 절반에 불과해 구조조정이 잘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 금융 공공기관의 희망퇴직 제도를 활성화시키겠다고 공언했지만 1분기가 지나고 있는 현재 논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 금융공공기관 관계자는 "정부의 공공 일자리 창출계획에 따라 신입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희망퇴직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면 인력구조 개선이 절반의 성공에 그칠 수 있다"며 "기재부에서 퇴직금 상한제를 풀어줘야 하는데 각종 이슈에 묻혀 현재로써 논의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