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소비지출이 감소하는 불황에도 고소득층은 교육과 의료비를 아끼지 않고 펑펑 쓴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실질소비지출은 불황 이전인 작년 1분기 205만6231원에서 경기침체의 심화된 올해 1분기 191만6436원으로 6.8% 줄었다.
교육비는 월 평균 30만1699원에서 29만9502원으로 0.7% 감소했으나 전체 지출 가운데 비중은 14.7%에서 15.6%로 올라갔다. 고등교육비의 경우 대학등록금 인상 여파로 11만2761원에서 11만3486원으로 증가했다. 학생 학원비도 13만3287원에서 13만4634원으로 늘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사교육 열풍은 가라 앉지 않았다.
의료비 지출은 12만2282원에서 12만5524원으로 2.7% 증가해 전체 소비지출 가운데 비중은 5.9%에서 6.5%로 상승했다. 반창고와 피임기구 등 기타의약품이 5848원에서 6287원으로 증가했고 외래의료서비스도 3만533원에서 3만3308원으로 늘었다.
반면 월 평균 식료품ㆍ음료 지출은 28만7261원(14.0%ㆍ이하 지출비중)에서 24만8203원(13.0%)으로, 의류 및 신발이 12만3269원(6.0%)에서 11만3776원(5.9%)으로 각각 감소했다.
의식주 비용을 줄이는 대신 자교육비와 건강을 챙기기 위한 보건의료비 지출 비중을 늘린 것이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과 의료 지출을 확대했다.
소득 상위 20%의 교육비 지출은 53만9246원(16.2%)에서 55만7445원(17.9%)으로, 보건의료 지출은 18만4345원(5.5%)에서 18만8195원(6.1%)으로 각각 늘었다.반면 소득 하위 20%의 교육비 지출이 11만7459원(10.9%)에서 10만9810원(10.7%)으로 줄었다. 상위 20%와 견줘 월 평균 교육비 지출 규모가 5분의 1 수준이다.
하위 20%의 보건의료 지출비중은 8.9%에서 9.3%로 늘었지만 지출금액은 9만6천367원에서 9만4천538원으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