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대한 국민 호감도가 조사 이후 최고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와 현대경제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2천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년 상반기 기업호감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호감도 지수가 100점 만점에 50.2점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하반기보다 2.1점 상승한 것이며 호감도 조사가 시작된 2003년 하반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6년 하반기 호감도 지수와 같다.
기업호감지수는 국민들이 기업에 호의적인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경제 기여 ▲윤리경영 ▲생산성 ▲국제 경쟁력 ▲사회공헌 등 5대 요소와 국민들이 느끼는 전반적 호감도 등을 합산해 산정하며 100점에 가까울수록 호감도가 높은 것이다.
최근 기업 호감도가 상승한 점과 관련해 상의는 "국내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고용창출과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기업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일자리 창출'(47.3%)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근로자 복지향상'(18.7%)과 `국가경쟁력 강화'(15.5%), `사회공헌활동'(10.3%), `이윤창출을 통한 국부증진'(8.0%)등의 답변이 있었다.
`앞으로 우리 경제에 가장 많이 공헌할 주체는 기업이다'라는 의견을 낸 응답자가 80.3%에 달했다.
국내 기업들의 국제경쟁력에 대한 국민적 호감도는 작년 하반기에 비해 6.6점 상승한 74.9점을 기록한 반면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호감도 지수는 1.3점 하락한 37.3점을 기록했다.
응답자들은 경제 위기에 기업가 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묻자 48.8%가 `노사안정'을 꼽았고 `정책 불확실성 제거'(20.3%), `규제완화'(12.7%), `창업지원 강화'(12.3%), `반기업 정서 해소'(5.5%)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