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사망자의 89%는 위탁사업장에서 발생했다.
2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재권)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370개 공공기관의 산업재해 사망자수를 전수 조사한 결과, 이들 기관에서 5년 동안 산재로 사망한 근로자는 총 225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6년 53명을 비롯해 △2017년 57명 △2018년 50명으로 3년 연속 매년 50명 이상 산재에 따른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31명, 34명으로 줄었다.
한국전력공사의 산재 사망자가 38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한국토지주택공사(35명) △국가철도공단(24명) △한국도로공사(23명) △한국철도공사(18명) △한국농어촌공사(16명) △한국수자원공사(10명) 순이다.

2016년 대비 2020년 사망자수를 비교할 경우 사망자수가 증가한 곳은 6곳으로 조사됐다. 한국전력공사의 산재 사망자가 2016년 5명에서 2020년 7명으로 2명 늘었고 △한국도로공사(3명→5명) △한국농어촌공사(1명→3명)도 4년 새 2명씩 증가했다.
또 한국중부발전의 사망자가 2016년 1명에서 2020년 2명으로 1명 늘었고, 2016년 사망사고가 없었던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공항공사에서는 지난해 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반면 한국철도공사의 사망자는 2016년 7명에서 지난해 1명으로 6명 줄었고, 한국수자원공사는 4명에서 지난해 ‘0명’을 기록했다.
산재 사망사고는 공공기관의 직접 관리를 벗어날수록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유형별로 최근 5년간 ‘직영’ 사업장의 사망자는 24명으로 전체의 10.7%로 조사됐다. 나머지 89.3%는 ‘건설발주’ 190명, ‘하청’ 11명 등으로 ‘건설발주 및 하청’에서만 총 201명이 사망해 직영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근로자를 제외한 안전사고(사망·부상자수)는 다소 감소했다. CEO스코어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시설에서 기관의 귀책사유로 인해 발생한 안전사고를 전수 조사한 결과, 이들 기관의 안전사고에 따른 사망·부상자수는 총 2305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2016년 441명을 비롯해 △2017년 534명 △2018년 637명 △2019년 484명 등으로 매년 400~600명을 기록하다가 2020년에는 209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재택근무는 늘고 외부활동이 줄면서 공공기관 시설 이용객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관별로는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의 5년간 안전사고가 395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체육산업개발(394명) △강원랜드(324명) △한국마사회(207명) △공무원연금공단(127명) △인천국제공항공사(123명) △한국공항공사(117명) △한국수자원공사(89명)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69명) △한국지역난방공사(6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