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긴급 안전점검 회의 주재한 김동연 지사, “도민 입장에서 문제 해결하는 시스템 만들어야”
상태바
긴급 안전점검 회의 주재한 김동연 지사, “도민 입장에서 문제 해결하는 시스템 만들어야”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22.11.09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태원 참사와 같은 일이 다시는 없도록 도민 입장에서 대책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9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긴급 안전점검 회의’에서 김 지사는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하는 것인데 이번 참사에서 봤다시피 정부와 공공이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공직자로서 부끄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라며 “예방, 사고가 났을 때 대처, 사고 발생 후 수습, 이 3단계 과정에서 많은 잘못을 저질렀다고 생각한다. 경기도는 이번 참사를 반면교사로 삼아서 (3단계 과정에) 만전을 기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행정1부지사, 경제부지사, 소방재난본부장, 기회경기수석과 실·국장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 내용을 토대로 마련된 안전대책을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경기도민에게 발표할 예정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날 김 지사는 국가긴급재난통신망을 예로 들며 “직원들과 대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관료적, 공무원적 발상을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 1조5000억을 투자했다고 하는 국가긴급재난 통신망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가긴급재난 통신망이 작동하지 않았다”며 제대로 작동했다면 이런 대형 참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이다.

이어 그는 “어제 제가 그 통신망 실험을 해봤다. 도민들께서 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시스템이 있는데 거기도 제가 직접 모바일로 시현해봤다”면서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이 애써서 잘하고 있지만 이만하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하는 것을 뛰어넘어 도민 입장에서 (시스템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더 간단히, 더 빨리 연락하고 우리가 빨리 반응할 수 있었으면 좋겠고 공무원적인 사고방식을 뛰어넘어서 문제를 해결했으면 한다”고 힘줘 말했다. 시스템과 매뉴얼 구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재난현장에서 효용성 있게 작동돼야 공무원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다중 운집행사장 안전관리 강화대책 ▲문화체육관광 분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긴급안전점검 ▲위반건축물 긴급 점검 ▲경기도 재난의료 대응체계 운영 방안 ▲경기도 재난심리지원체계 운영 방안 ▲도내 사업장 및 산업현장의 중대산업재해 예방 강화 등을 주제로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응과 제도개선 방안 등의 검토가 이뤄졌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