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암탄생100주년기념사업위원회(위원장 금춘수)는 10일 오후 서울 63컨벤션센터에서 현암 탄생 10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한화는 ‘불꽃, 더 큰 빛이 되다’라는 슬로건 아래 창업자의 업적과 철학을 기렸다.
현암 김종희 회장의 탄생 100년 되는 날은 11월 12일이지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및 한화와 인연이 있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예상돼 혼잡을 피하기 위해 이날 비공개로 진행됐다.
기념식에는 그룹 원로와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 및 신임 임원을 포함한 내외빈 250여 명이 참석했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과 한화솔루션 김동관 부회장, 한화생명 김동원 부사장,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김동선 전무도 참석해 김종희 회장의 경영 철학과 업적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당초 김 회장 동생인 김호연 빙그레 회장의 참석여부도 관심을 모았지만, 해외출장 일정으로 부득이하게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기념식은 기념영상 상영, 그룹 원로의 회고사와 기념서적 헌정에 이은 기념공연의 순으로 진행됐다.

김승연 회장은 “현암 회장님의 불굴의 도전과 선구자적 혜안이 있었기에 세계 속에 우뚝 선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었다”며 “내일을 위한 지혜와 용기를 얻고 모두가 가슴 속에 저마다의 불꽃을 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화의 전신인 한국화약을 창업한 현암 김종희 회장은 사업보국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 재건에 앞장서기 위해 다이너마이트 국산화에 힘썼다. 이를 통해 ‘한국의 노벨’이라는 별칭을 얻으며 업적을 인정받았다.
기간산업에 매진해 대한민국이 중공업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이루는 초석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육영사업가로서 북일고등학교를 세웠고 민간외교관으로는 미국, 그리스 등과의 돈독한 외교관계를 쌓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북일고 초대 사무국장이었던 류성우 고문은 이날 회고사에서 “화약 국산화의 염원을 완수한 불굴의 개척가이셨고, 국가 발전의 기반이 되는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화의 미래를 앞당긴 혁신가였다”고 평가했다. 특히 북일고를 세울 당시 김종희 회장의 육영사업에 대한 진심과 깊은 책임감을 떠올리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김종희 회장의 선각자로서의 면모를 강조하기도 했다.

기념식에서는 11일 출간될 기념서적의 헌정식이 진행됐다. 헌정된 기념서적 ‘불꽃, 더 큰 빛으로’(다산북스)는 김종희 회장의 일대기를 사업가로서의 측면과 경영철학, 그리고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간적인 면모로 나눠 서술한다. 지금의 한화그룹에 이르기까지의 발전사와 한국 산업의 역사를 함께 조망하면서 사업을 하는 목적, 기업가의 소명을 담았다.
기념 전시회는 11일부터 12월 17일까지 서소문에 위치한 한화미술관에서 열린다. 현암 김종희 회장의 인생 여정을 이강화 교수, 박승모, 이세현, 308 ART CREW, 박근호 작가 등 유명 아티스트들이 재구성한 작품이 전시회의 메인을 구성한다.
국내외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티스트들의 시각으로 풀어낸 김종희 회장의 업적과 경영철학이 순수미술부터 조형 작품, 미디어아트 등으로 다양하게 펼쳐질 예정이다.
현암 김종희 회장의 사업보국 창업 이념은 현재의 김승연 회장에게 이어져 그룹의 핵심 철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화그룹은 기존의 방산 및 석유화학에 더해 금융, 유통 등 고객의 일상에 가장 가까운 영역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우주 산업 등 미래 사업에 이르기까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업보국에서 시작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은 ‘함께 멀리’의 사회공헌 철학으로 진화해 교향악축제, 맑은학교 만들기, 태양의 숲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