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현대엘리베이터, AI 예지보전 시스템 개발…승강기 운행중단 43% 줄여
상태바
현대엘리베이터, AI 예지보전 시스템 개발…승강기 운행중단 43% 줄여
  • 이철호 기자 bsky052@csnews.co.kr
  • 승인 2023.02.27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책 과제로 수행한 '승강기 가용시간 증가를 위한 운영 및 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정지 고장으로 인한 운행 중단 건수를 43% 감소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현대엘리베이터 주관으로 2020년 4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33개월간 진행된 이번 과제에는 인하대, 중앙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승강기안전관리공단, ERC 등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주무 기관 등이 함께 참여했다.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운행 중단 시간을 줄여 승객의 불편을 줄이고 산업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 아래 시작됐다.

기존 승강기 유지관리는 고장 발생 후 사후 대응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전돼 왔다. 이번 연구는 감지 기술, 빅데이터 기술, 인공지능(AI) 예측 기술 발전으로 고장 발생 전 이를 감지해 사전 대응이 가능해졌다는 점에 착안해 추진됐다.

주요 개발 기술은 ▲부품 수명 측정 모델 ▲고장 탐지 및 분류 서비스 ▲고장 전 탐지 경보 서비스 ▲승강기 전용 IoT 게이트웨이 등이다. 이들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은 최적의 부품 교체 주기를 인지하고 이상 신호 감지 시 문제 발생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으며, 서비스 기사의 경우 고장 신고 수신과 동시에 현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

▲현대엘리베이터가 개발한 AI 예지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정지 고장으로 인한 운행 중단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다.
▲현대엘리베이터가 개발한 AI 예지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정지 고장으로 인한 운행 중단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이번 국책 과제 성과를 적용한 서비스를 오는 6월 도입할 예정이다.

현대엘리베이터 관계자는 "전국 47개 현장의 1010대 승강기를 대상으로 이번에 개발한 기술 적용 전, 후 각각 1년간 비교 분석한 결과 정지 고장 발생 건수가 43% 줄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인공지능, IoT 등의 첨단 기술을 엘리베이터에 도입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올해 1월에는 LG유플러스와 함께 승객 안전 보호 시스템 '미리뷰' 개발 MOU를 체결했으며 지난해 3월에는 오픈 API를 일반에 공개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