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전 열린 국제금융도시 서울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정진술 서울특별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서울을 동북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만들겠다는 정부와 서울시의 기조는 유지되고 있는데 이와 상반되는 산업은행 이전 공약으로 여러 전문가와 시민들의 우려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서울의 금융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싱가포르와 뉴욕처럼 금융을 집중화 해야 한다”라며 "서울을 홍콩‧싱가포르에 버금가는 아시아 금융허브로 키우기 위해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서울 존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뒤이어 발표자로 나선 김현준 산은 노조위원장은 산업은행이 시장형 정책금융기관으로 기업금융, PF대출, 벤처투자, 구조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 금융기관을 주도해 정부의 금융정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금융회사들이 밀집한 서울 존치가 필요하다고 당위성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고객 기업뿐만 아니라 민간 금융회사 등 다수 기관과 상시 협업하는 업무 특성을 감안할 때 대다수 기업과 기관들이 모여 있는 서울에 있어야만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제 이후 열린 토론에서도 여러 전문가들은 금융업이 집약적 산업이라는 점에서 산은이 금융중심지로 이미 구축된 서울에 존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서울시 차원에서도 산은 이전 반대에 대한 전략구상이 필요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민옥 서울시 의원은 “오세훈 시장은 산업은행 이전을 반대한다고 말하면서 이에 대비하는 전략 구상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서울의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과 더불어 산업은행 이전에 대한 서울시의 연구 용역 발주 및 시민 관심 환기 등 실질적인 행동을 보여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묵한 서울연구원 연구위원도 “금융기관은 기업의 본사가 집중되어있는 곳으로 모여드는 특성이 강하지만 그 반대도 그러한지는 불명확하다”며 "산업은행 이전으로 발생하는 국토 균형발전 효과보다 국가 금융산업의 경쟁력 약화 등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토론회를 주최한 서준오 서울시의원은 "인위적인 공공기관 이전으로 금융산업 네트워크 붕괴를 초래할 것이 아니라 서울에 금융역량을 집중해서 국가 금융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