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의장 염종현)가 지난 2월 도민들의 경제상황 체감도와 맞춤형 경제정책 수립을 위해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도민 10명 중 9명 이상이 민생경제 위기를 체감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글로벌알앤씨’에 의뢰해 지난 2월 1일부터 6일까지 6일 간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내용은 도민의 경제상황 인식, 고용 및 일자리, 경기도일자리재단, 경제정책방향 등 4개 분야의 15개 문항이다.
조사 결과 97.4%의 도민들은 현재 경제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구조적 장기불황’이라고 답한 도민은 66.9%, ‘일시적 경기침체’라고 답한 도민은 30.5%였다. 반면 ‘경기침체가 아니다’라는 의견은 2.6%에 그쳤다.
도민들은 경기침체의 원인에 대해 ‘러-우 전쟁, 미-중 갈등, 에너지 가격 등 글로벌 경제상황’ 탓이라는 인식이 42.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부 및 지자체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이 20.2%,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14.5%,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가 8.9%, ‘신성장 동력 미비 등 경쟁력 약화’ 6.9%, ‘민간소비 감소로 인한 내수 침체’ 5.4%, ‘기타’ 1.3% 순으로 나타났다.
도민들은 올해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정망하고 있다. 응답자의 54.6%가 ‘나빠질 것’으로 예측했고 34.1%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봤으며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1.3%에 불과했다. 경기도 경제위기 대응에 대한 여론은 긍정 39.7%, 부정 60.3%로 부정평가율이 높았다.
도민들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일자리 창출 및 고용 불안정 해소’(39.2%)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이어 ‘경기지역화폐, 청년기본소득 등 생활비 감면’(19.5%), ‘아동, 어르신, 장애인 등 경제취약계층 지원’(12.9%), ‘영세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지원 강화’(11.1%), ‘국내외 우수기업 유치’(7.7%), ‘기업인 운영자금 등 융자지원’(4.8%), ‘창업 지원 및 창업공간 조성’(3.0%) 등을 꼽았다.
경기도의 일자리 충분도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그렇다’는 의견이 16.9%에 그친 반면, ‘보통이다’ 45.6%,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37.5%를 기록했다. 또 올해 실업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40.5%로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13.4%보다 3배 가량 높았다.
실업자들을 위해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재취업을 위한 직업알선, 소개 등 정보제공’이라는 응답이 33.8%였다. 이어 ‘재취업을 위한 기술교육’이 20.8%, ‘실업구제를 위한 취로사업 등 지역개발사업’이 20.3%를 기록했다.
아울러 도민들은 경기도 경제정책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민생경제 회복’(52.9%)을 우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차세대 성장동력 보강’ 16.6%, ‘사회안전망 등 포용성 강화’ 13.7%, ‘미래 과제 선제대응’ 9.7%, ‘대내외 리스크 관리 강화’에 5.4%의 도민이 응답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