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국제통신공업(대표 김성조)과 함께 서울시 지하철 9호선에 LTE-R 구축을 본격화한다고 13일 밝혔다.
LTE-R은 4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LTE를 철도 환경에 최적화한 철도 통합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LG유플러스는 국제통신공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이날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LTE-R은 TRS(주파수공용통신), VHF(초단파)와 같은 기존의 음성 위주 무선통신기술과 달리 음성·영상·데이터 서비스가 모두 가능하다.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열차 안전 운행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 9호선에는 연간 1억5천만 명이 넘는 수송객의 안전을 위해 역사 및 차량기지, 관제센터에 LTE-R 기술이 적용되며 사업 구간은 총 3단계로 나뉜다.
1단계 사업은 2024년 12월을 목표로 한다. 개화역부터 신논현역까지 총 25개 역사, 길이 25.5km에 해당하는 구간에 LTE-R이 적용된다. 주요 환승역인 김포공항·당산·여의도·노량진·고속터미널 등도 포함된다.
LTE-R이 적용되면 끊임없는 영상신호를 통해 기관사는 역사 진입 400M 전방부터 승강장 화면을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크린도어 주변의 이상 유무와 안전사고 징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또 객차 내 CCTV 영상은 기관사, 관제센터, 안전관리실로 실시간 공유돼 신속한 사건·사고 대응이 가능해진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컨소시엄간 긴밀한 협력으로 9호선만의 관제 및 승차 경험을 혁신하고, 향후 2~3단계 구간의 사업에도 도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