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나라마다 들쭉날쭉한 금연 기준을 전 세계적으로 통일시켜 흡연자들의 설 땅을 없애려는 강력한 정책을 세계보건기구(WHO)가 마련 중이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9일자 최신호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강력한 금연기준의 윤곽이 곧 발표될 것이며, 새 기준은 WHO 모든 회원국에서 '최소 기준'으로 의무화된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WHO는 ▲담배 관련 통계를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확보·공개할 것 ▲아일랜드 수준의 금연기준을 시행할 것 ▲ 흡연자들의 금연을 더 적극적으로 유도할 것 등을 모든 회원국에 요구할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이에 더해 ▲담뱃갑의 경고 문구를 더 키우고 ▲담배회사의 광고, 판촉, 후원 행위를 전면 금지하는 등 비흡연자들이 담배에 유혹을 느낄 계기를 원천봉쇄하는 쪽으로 정책의 큰 틀을 바꾸는 것이 이번 WHO 정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소개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담배에 대한 가혹한 중과세나, 미국 절반 이상 주에서 시행 중인 징벌적 손해배상 등으로 선진국들의 흡연율이 꾸준히 줄고 있는 반면 담배회사들은 개도국이나 여성 등 경제적·사회적 약자들을 새로운 고객으로 확보하는 비도덕성을 점차 노골화시켜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선인장술 테킬라와 더불어 '아메리카의 두 가지 재앙'으로 꼽히는 담배는 콜럼버스가 서인도제도에 도착한 1492년 처음으로 유럽에 소개되면서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 불과 100여 년 뒤인 1604년 담배의 폐해를 영국 국왕이 공공연하게 비난할 정도가 되었다.
현대인의 주요 사망원인 대부분은 흡연과 관계 있으며, 금세기에만 10억 이상의 인구가 담배로 조기사망할 것이라고 WHO는 경고하고 있다. 담배가 흡연자에게 끼치는 건강상의 직접 손실은 1갑당 약 35달러로 환산되며, 담배 세율을 10% 인상할 때의 흡연감소 효과는 선진국의 경우 4%, 개도국은 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의 주 소비계층이 빈곤층으로 이동하고 있음이 뚜렷해진 이상, 흡연자와 담배회사에게 가혹한 금연 정책은 결과적으로 빈곤층에게 이득을 준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