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관절 영양제 ‘콘드로이친’ 이름 같아도 효과는 딴판...의약품·건기식 주요 성분·함량 달라 '주의'해야
상태바
관절 영양제 ‘콘드로이친’ 이름 같아도 효과는 딴판...의약품·건기식 주요 성분·함량 달라 '주의'해야
고함량 의약품 부작용 가능…건기식은 효과 제한적
  • 정현철 기자 jhc@csnews.co.kr
  • 승인 2025.05.12 0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콘드로’, ‘콘드로이친’, ‘콘드로이틴’ 제품이 시중에 쏟아지고 있으나 제품마다 성분과 함량, 유형이 달라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하다.

제품명에 '콘드로' '콘드로이친' 등이 동일하게 포함돼도 일반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여부가 다르기 때문이다.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된 콘드로이친 성분은 보통 120~600mg 수준으로 일반의약품에 비해 최대 10분의 1 수준으로 극히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일반의약품은 18세 이하는 복용을 제한하는 등 부작용이 있어 섭취 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하다.

12일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 유한양행, GC녹십자, 종근당, 동아제약, 대원제약, 동화약품, 안국약품, 보령컨슈머헬스케어 등 제약사 8곳에서 출시한 콘드로 관련 관절 제품 10종을 조사한 결과, 실제 성분이나 제품 유형이 달랐다.

이들 중 ▲유한양행 '조인트 콘드로800정' ▲종근당 '조인트콘드로정'  ▲동아제약 '맥스콘드로이틴1200' ▲대원제약 '멘토콘드정' ▲동화약품 '파워콘드로600정' 등 5개 제품은 일반의약품이다.

▲GC녹십자 '조인트 뮤코다당단백 콘트로이친 1200' ▲종근당 '관절연골 뮤코다당단백(콘드로이친) 1200플러스' ▲동화약품 '관절엔 소연골 뮤코다당 단백 콘드로이친 1200' ▲안국약품 '뼈관절연골엔 뮤코다당단백 콘드로이친 1200' ▲보령컨슈머헬스케어 '소연골 뮤코다당단백(콘드로이친) 1200' 등 5개는 건강기능식품이다. 

일반의약품의 경우 주성분인 '콘드로이틴설페이트나트륨'을 600~1200mg 수준 고함량 함유하고 있다. 해당 성분은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고 관절 내 윤활 작용을 돕는 기능으로 퇴행성 관절염 등 골관절염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구토나 심장 또는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부종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18세 미만은 복용이 금지돼 있는 등 연령 제한도 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된 제품은 '뮤코다당·단백'을 주요 성분으로 한다. 이 성분은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등과 단백질 복합체다.

일반의약품은 제품정보 표기에 주 원료를 '콘드로이틴설페이트나트륨' 함유량을 기입한다. 통상 600~800mg, 최대 1200mg을 함유한다. 반면 건강기능식품은 뮤코다당·단백 함유량을 기입한다.

업계 관계자는 “건기식에 포함된 뮤코다당·단백에는 보통 120~600mg의 콘드로이친 성분이 들어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처럼 성분과 함량, 효과, 복용 기준이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제품명에 ‘콘드로’라는 단어가 공통적으로 사용돼 소비자들이 혼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의약품의 경우 첨부 문서 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에 적합하게 사용해야 하며 복용 전 의·약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현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