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5G 여전히 버벅대는데 통신3사 5G 투자 축소...품질 논란 거세질 듯
상태바
5G 여전히 버벅대는데 통신3사 5G 투자 축소...품질 논란 거세질 듯
작년 설비투자비용 14%줄어,,,전국망 구축 미뤄질 듯
  • 박인철 기자 club1007@csnews.co.kr
  • 승인 2021.02.22 0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례1 경북 영주 한 아파트 관리소에서 근무하는 손 모(남)씨는 지난해 8월 삼성전자 갤럭시노트20 5G 스마트폰 단말기를 구입하면서 월 8만 원대 KT 5G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했다. 그러나 사무소에서는 5G 연결이 버벅돼 LTE 우선모드로 사용하고 있다. 박 씨는 “반 년째 서비스는 전혀 누리지도 못하면서 비싼 요금만 그대로 내고 있다. 단말기는 5G 연결되는 곳을 찾느라 배터리 소모만 된다"고 하소연했다.
▲박 씨는 5G  사용 후 인터넷 속도가 현저히 느려졌다고 하소연했다
▲박 씨는 5G 사용 후 인터넷 속도가 현저히 느려졌다고 하소연했다
# 사례2 부산에 사는 장 모(남)씨도 같은 상황이다. 5G 단말기 구입 후 인터넷이 지속적으로 느려서 LG유플러스 고객센터에 문의했으나 "LTE 주파수로 설정을 바꾸고 쓰라"는 답변만 들었다. 장 씨는 “센터에서는 ‘망이 아직 안깔려서 그렇다’ '구매 시 알려드린 부분이다'라는 등 당당한 태도만 보이는데 화가 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 사례3 용인에 사는 최 모(남)씨는 지난 달부터 SK텔레콤 5G를 이용 중이나 잦은 끊김과 속도 저하로 정상적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 씨는 “고객센터를 찾아가도 초기화하라는 얘기만 하고 명쾌한 해결방안을 알려주지 않는다”며 “LTE 몇 배 이상 속도라는데 체감을 전혀 못하니 정당한 서비스 제공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5G 상용화 3년차에 들어섰지만 이동통신 3사의 5G 연결 끊김과 느린 속도 등 품질저하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여전한 가운데 이동통신 3사가 5G 전국망 구축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올해도 관련 갈등이 해소되지 않을 전망이다.

5G 주파수는 LTE보다 전파 우회가 어렵고 도달 범위가 짧아 기지국 하나당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좁다. 전국망을 완성하려면 LTE보다 최소 2~3배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지만 지난해 상반기 기준이동통신 3사의 통신 무선국 신규 구축 건수는 전년 보다 되레 50% 이상 줄었다. 

실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의 지난해 설비투자 비용은 총 8조2761억 원으로 2019년(9조5967억 원)보다 13.7% 감소했다. 올해는 그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은 이달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효율화’를 강조하며 설비투자 규모를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는 예상치 못했던 코로나19 영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면서 실내망 구축 등에 어려움을 겪었고 대규모 투자가 단행되는 첫해보다는 투자 비용이 줄었다는 것이 통신사들의 해명이다. 올해 5G 전국망 구축 완공에 대해서도 확답하지 못했다.

통신사 관계자는 “통신사 우선 과제는 5G 품질 향상과 속도 개선”이라면서 “100%의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코로나19 등의 문제도 있어 올해 완공 여부를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5G 실내 사용률을 높이려면 인빌딩 설치를 꼼꼼히 해야 하는데 대면 접촉이 어려워 늦어지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투자비용은 제자리인데 투자해야할 곳이 많아졌다. 통신사들은 올해 28㎓ 기지국 1만5000대 의무 구축 및 5G 단독모드(SA) 상용화도 신경써야 한다. 28㎓망은 현재 사용 중인 3.5㎓보다 초고주파 대역이라 속도가 빠르다는 강점이 있지만 전파가 건물과 벽을 통과할 때 손실률이 높아 투자비가 많이 들어간다. 

여기에 주파수 재할당 투자 옵션에 따른 추가 투자도 불가피하다. 통신사들은 오는 6월 할당기간이 만료되는 주파수의 재할당 대가를 정하는 기준으로 5G 무선국 투자 옵션을 걸었는데 이는 현재 주력망인 3.5㎓ 대역이라 28㎓ 대역과는 별개 투자다.

코로나19도 장기화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인력 투입이 절대적인 설비 투자가 지난해처럼 더뎌질 수도 있다.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는 “5G 관련 소비자 피해 절반 이상이 품질 관련이라 위약금 면제나 요금감면 등 실질적 소비자 피해구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여연대 측은 “지금도 수많은 5G 가입자가 불통 문제로 서비스를 제대로 쓰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제대로 된 보상기준이나 공개된 절차가 없어 개별적으로 피해구제를 받아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이용자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보상은 물론 2∼5만 원대 중저가 5G 요금제에도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사실 5G는 2019년에 '역대급'이라 할 만큼 많은 투자가 진행됐고 지난해도 많은 투자가 진행되긴 했다. 소비자 불만이 여전한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앞으로도 안정적 5G 운용을 위해 꾸준하게 투준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