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은 12일 쌍용차의 법정관리 신청과 관련, 민주노총.금속노조.시민사회단체 등과 공조해 '중국 상하이자본 손해배상 청구 범국민 서명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작년 12월 직원 임금이 체불된 가운데서도 장하이타오 전 대표가 12월 월급 2000만원을 받아 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노조는 이날 쌍용차 평택 공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쌍용차 부도는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의 문제, 국가기간산업인 자동차산업 기술유출의 문제, 지역 경제의 문제, 노동자 생존권의 문제"라며 "그동안 제기돼온 기술유출, 업무상 배임, 투자유치 거짓말, 중국 매각 승인 국가책임론 등에 대해 다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이어 "상하이자본이 지난해 12월부터 철수를 치밀하게 준비해 왔다"고 단정하고 "현 경영진 퇴진 운동, 중국 상하이차에 파견된 연구소 인원 국내송환, 상하이차와의 전산망 차단 등 취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실행에 옮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와함께 장하이타오 대표이사의 불투명한 임금 수령에대해서도 직격탄을 날렸다. 사측이 경영위기 타개를 위해 12월 임금을 체불했다고 주장했지만 장하이타오 대표가 지난달 23일 12월 임금 2000여만원을 받았다는 것. 그증거로 노조는 장하이타오 대표의 2008년 소득증명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 측은 "장하이타오 전 대표이사도 다른 임직원들과 동일하게 지난 9일에 작년 12월 급여를 받았다"며 노조의 주장을 부인했다
노조는 이어 '구조조정과 관련 "상하이차의 쌍용차 인수 이후 이미 1500여명의 인원이 감축됐고 지금도 사측의 일방적 강제휴업으로 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구조조정이 쌍용차 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13일 서울 종로구 중국대사관 앞에서 '상하이자동차 규탄 기자회견'도 가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