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 병원들이 도를 넘었다. 소비자들이 마루타 쯤으로 보이는 모양이다.
일부 국.공립병원이 2차 감염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회용 의료기기를 2∼3 차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9일 국공립병원 3곳을 표본조사한 결과,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사례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권익위는 작년 7월 경기도 부천의 모병원이 카테터를 재사용하고 진료비 6억2천만원을 부당청구했다는 비리신고를 접수하고, 부당청구 사실을 확인한 뒤 관계기관에 수사자료로 넘겼다.
A병원은 2007년 한 해 동안 관상동맥 확장용 카테터(혈관 내에 삽입해 막힌 혈관을 뚫는 일회용 의료기기)를 평균 3.07회 사용했고, 배를 절개하지 않는 복강경 수술법에 사용되는 투관침도 평균 1.45회 사용했다.
2005-2007년 카테터 수입.제조량은 1만8천766개였으나 진료비 청구건수는 6만687건이었고, 같은 기간 특정 투관침 품목의 수입.제조량은 1만9천732개였으나 진료비 청구건수는 5배 많은 9만7천727건에 달했다.
한편 각 주무기관들 사이에 일회용 의료기기 사용에 대해 각기 달리 해석하고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식약청과 권익위는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은 국민건강권 위협, 건강보험 재정낭비의 요인이 된다며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을 금지한 반면 보건복지가족부는 진료비 상승을 막기 위해 일부 의료기기에 대해 재사용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