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김미경 기자]알리안츠생명보험 설계사가 변액보험을 3년 만기 원금보장형 상품이라고 현혹해 가입시켰다는 소비자의 불만이 제기됐다.
서울 삼전동의 김 모(남. 56)씨는 2005년 4월 매월 30만 원씩 내는 알리안츠생명의 변액유니버설보험을 아들 이름으로 가입했다.
가입 당시 김 씨의 부인은 “아들의 군 제대 일에 맞춰서 3년 짜리 적금을 넣어 달라”고 요구했고 설계사는 변액유니버설보험을 추천하며 “이 상품은 적금이랑 똑같다”고 안내했다.
가입한 지 6개월가량이 지났을 무렵 보험회사에서 안내장이 날아왔다.
김 씨는 설계사에게 “보험 상품이냐”고 물었고, 설계사는 “걱정하지 말라. 해약하지 말고 3년만 가지고 가면 원금이랑 이자를 넉넉히 다 찾을 수 있다. 그전에 찾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3년이 되던 지난해 4월, 김 씨는 보험을 해약하려고 알아 봤다가 깜짝 놀랐다. 3년 만기가 아닌 '종신' 상품이고, 원금의 40%밖에 찾을 수 없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설계사는 다시 "해약하지 말고 그냥 넣어라. 오랜 기간 넣을수록 좋다”고 설득했다.
원금에서 반 토막이 난 상황이라 해약하지도 못하고 지체하다 김 씨는 지난 달에 해약을 결심하고 알리안츠생명을 방문했다. 결국, 1200만 원을 내고 480만 원만 받았다.
김씨는 “세상 물정이 어두운 사람이라 설계사를 믿고 가입했다. 돈을 못 받는 일이 있어도 설계사가 앞에 와서 빌도록 만들고 싶다”며 격한 감정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알리안츠생명 관계자는 “조사결과, 계약자가 중도 해약 시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입확인서에 자필서명을 했고, 또한 동 계약의 유지 기간에 총 11차례에 걸쳐 계약관리내용이 우편으로 통지된 점 등을 고려할 때 민원인의 주장과 달리 계약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돼 거절처리 했다”고 밝혔다.
알리안츠생명 측 주장에 대해 김 씨는 "설계사가 잘 아는 분이라 가입확인서를 안 읽고, 가리키는 곳에 서명했다. 또 회사에서 영수증(우편물)을 받고 설계사에게 물으니 '걱정 말라. 3년이면 원금이랑 이자를 넉넉히 찾는다'고 해서 여러 차례 우편물이 왔어도 신경 쓰지 못했다. 설계사의 말을 믿고 계약을 계속 유지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저도 현재 알리안츠 변액 성장형 기본20 가입되었구요~ 2년의무납입은
끝났고요 주식하락으로 1년정도 이체정지를 시켰내요...현재 원금 560만원중 해약환급금은 240~50 추정합니다. ㅠㅠ 10년만 부어볼까도 생각해보고 에이 그냥 적금으로 돌릴까도 생각중인데...역시 펀드는 결혼하고 해도 늦지 않을껄 결혼전에 이런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 받는게 참 거시기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