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이혼율 낮은 지역일수록 수명 길다"
상태바
"이혼율 낮은 지역일수록 수명 길다"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02.21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과 호주의 100세인 거주지에 대한 사회환경을 분석한 결과 이혼율이 낮은 지역일수록 100세 이상의 장수노인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한국보건복지학회장인 김종인(55.원광대 복지보건학부) 교수가 2001년 한국과 호주지역 100세 인의 지역별 장수지표를 산출해 '사회 환경요인과의 연관성'을 규명한 분석자료에 의해 드러났다.

   김 교수는 당시 한국의 244개 도시에서 살던 2천217명과 호주의 162개 도시에서 거주하던 2천503명의 100세 인을 대상으로 산출한 장수지표를 최근 분석한 끝에 "사회문화적인 차이에도 양국 도시지역에서 이혼율이 낮은 지역일수록 100세 이상의 노인이 많이 거주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들 대부분은 아직 전통사회를 벗어나지 않고 옛날 방식을 고수하면서 사는 지역으로, 가족사회 안에서의 이혼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음식문화를 비교해 볼 때 호주의 백세인 지역에서는 양파와 보리를, 한국의 100세인 지역에서는 콩과 마늘을 많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곳일수록 장수지역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체적인 연구결과를 놓고 볼 때 양 국가의 장수요인은 건강식과 사회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면서 "장수국가로 가기 위해서는 쾌적한 환경과 건강식 섭취, 금연, 건전한 사회환경 조성 등의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의 이 같은 분석내용은 최근 발간된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의 영문판에 실렸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