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실질 소득.소비 곤두박질..통계 작성이후 최악
상태바
실질 소득.소비 곤두박질..통계 작성이후 최악
  • 성승제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02.27 0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4분기  가구의 실질 소득과 소비가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물가상승을 감안한 작년 4분기 전국가구(2인 이상)의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은 302만3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실질소비는 203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줄었다.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래 4분기 기준으로 실질 소득과 소비가 동시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이는 작년 9월 불거진 미국발 금융위기가 4분기 이후 국내 실물경제로 전이되면서 구조조정 등으로 소득이 급격히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다.

   소득의 경우 경상 소득 중 근로소득(4.6%), 이전소득(13.3%)은 증가했으나 사업소득(-2.6%), 재산소득(-8.7%) 등은 줄었다.  부동산 침체와 주가 하락으로 수익을 올리지 못했다는 의미다.

   소비지출의 경우 교육비(9.3%), 식료품(4.6%) 등은 증가했다. 반면 교양오락(-8.1%), 의류신발(-3.7%), 가구가사(-3.6%), 광열수도(-2.3%) 등은 감소했다. 절약이 생활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 지출은 감세로 인해 조세 지출이 5.6% 줄어들면서 전년 동기 대비 2.3% 늘었다.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92만3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에 머물렀다.

   특히 도시근로자가구(2인 이상)만 놓고 보면 작년 4분기 실질소득은 345만9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실질소비는 218만4천원으로 1.2%가 각각 감소했다.  비도시 가구가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음을 보여고 있다.

전국가구 중 소득 하위 30%(소득 1~3분위) 계층에서 가계살림이 적자가 난 가구의 비율은 55.1%을 기록했다. 전분기보다 4.4%포인트 상승했다.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4~7분위 비율은 23.1%로 전분기보다 1.5%, 소득 4~7분위의 상류층은 10.4%로 2.7%가 각각 감소했다.  

   연간으로 볼 때도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은 307만2천원으로 전년 대비 0.2% 줄었다. 연간 수치로도 통계 작성 이래 최악이다.   작년 실질 소비지출은 208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1% 줄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