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는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겨울을 보낸 멸치떼가 이달 초순 산란을 위해 남해안의 남해도, 욕지도 연안에 모여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3일 밝혔다.
멸치는 따뜻한 수온대를 좋아하기 때문에 주변 해역보다 수온이 높고 난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내만 해역에 좋은 어장이 형성될 것으로 수산과학원은 전망했다.
수산과학원 측은 고수온의 영향으로 평년에 비해 10일 이상 빠르게 봄철 멸치 어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여 출어 준비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남해안의 수온은 평년 수온에 비해 1℃ 정도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열대 해역으로부터 동중국해를 거쳐 우리나라 연안으로 북상하는 난류가 평년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근래 남해안의 제주도∼대마도 해역의 수온은 14∼15℃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앞으로도 난류세력이 연안으로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남해수산연구소 관계자는 "멸치는 봄에 남해안 연안에서 주로 산란하는데 올해 봄철 수온 분포로 볼 때 어미 멸치 어획량과 산란량 모두 평년 수준을 웃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