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폭발사고로 한국인 관광객 4명이 사망한 사건의 수습을 위해 현지에 파견된 정부 신속 대응팀과 유가족이 탄 차량들이 18일 폭탄 테러로 추정되는 공격을 받았지만 모두 무사하다고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이런 가운데 18일 정부가 여행 제한국 검토 등 본격적인 테러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예멘 폭발 사건’이 알카에다 조직원에 의한 자살 폭탄 테러로 드러났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미국이 주도하는 ‘테러와의 전쟁’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예멘 사건으로 인해 18일 청와대에서는, 국가정보원 주재로 청와대 국가위기상황팀, 외교통상부, 국방부, 경찰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부처 테러대책실무회의가 열렸다.
외교부도 이날 오전, 신각수 제2차관 주재로 ‘국외테러사건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했다.
회의에선 여행 제한국 검토가 주요 사안이었으며, 각국 테러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테러국 경보 시스템 강화, 테러국에 대한 기업체ㆍ여행사와의 정보 교환 강화, 대국민 홍보 강화 등의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테러국에 대한 국제 공조 대응책도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이번 테러가 한국인을 특정한 것이 아닌 불특정다수를 겨냥한 것이라는 게 공통 의견이지만 여행사를 통한 안전 대책 강화, 필요 시 경호요원 투입 대책 등 세부적인 대응책이 논의됐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