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영희 민주당 의원에게 낸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내에서 238명이 광범위 내성결핵(슈퍼결핵) 증세로 치료를 받았다.
광범위 내성결핵은 오래된 결핵 치료제인 아이나, 리팜핀뿐만 아니라 최근 개발된 퀴놀론계 항생제·주사제까지 듣지 않아 치료가 매우 어려운 결핵을 말한다.
광범위 내성결핵은 2007년까지는 건강보험 질병 분류에서 따로 구분돼 있지 않았지만, 지난해 처음으로 질병 코드가 부여되면서 진료기록으로 환자 수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아이나, 리팜핀에 내성이 생긴 ‘다제 내성결핵’으로 진단된 환자도 지난해 2262명으로 집계됐다.
일반 결핵 환자들이 충분히 치료받지 않으면 내성결핵으로 바뀔 수 있으며, 내성결핵 환자로부터 감염되면 처음부터 항생제가 듣지 않아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슈퍼결핵에 걸릴 수 있다.
이런 내성결핵 환자 가운데는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30대가 24%(569명)로 가장 많았고, 20대 20.2%(482명), 40대 20%(478명), 50대 15.9%(379명) 차례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