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기업의 수익성 개선, 경기회복 기대감 등으로 제조업 체감경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최근 141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31일 발표한 `2009년 3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의 3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57로 전월의 43보다 14포인트 급상승했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1월 이후 가장 큰 월별 상승 폭이다.
제조업 업황 BIS는 작년 9월까지 70선에 머물다 10월 67, 11월 54, 12월 46으로 추락했다. 올해 1월에는 1포인트 반등하기도 했으나 2월에 다시 43으로 곤두박질 쳤다.
업황 BSI는 지수 100을 기준으로 해당 기업의 경영여건을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으면 100에 못 미치게 된다.
4월 업황을 예상하는 전망 BSI도 2월의 50보다 10포인트 높은 60을 기록했다.
환율 상승으로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고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 일부 수출상품 수요가 증가하는 등 수출여건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줄었고 재정지출 확대 계획 등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기준치인 100보다는 훨씬 낮아 여전히 업황은 좋지 않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수출기업의 3월 업황 지수는 58로 전월보다 18포인트 뛰었다. 대기업의 지수도 43에서 61로 18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은 43에서 55로, 내수기업은 45에서 57로 12포인트씩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