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케이블 TV 포함) 식품 광고 10건 가운데 7건 이상이 비건강 유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양대 광고홍보학부 문영숙 교수는 `텔레비전 식품 광고에 나타난 설득 소구(訴求, appeal)와 건강 관련 주장 분석 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TV에 집행된 493개의 식품 관련 광고물을 분석한 결과 73%가 비건강 유형이었다. 건강 유형은 27%에 불과했다.
문 교수는 기업 광고를 제외한 식품 유형을 건강 식품군(고기류의 단백질 식품, 곡물/시리얼/파스타, 유제품, 과일/채소/100% 과일주스, 건강보조식품/생수)과 비건강 식품군(패스트푸드/패밀리 레스토랑, 디저트/사탕류/스낵류, 음료/커피/차, 조미료/소스, 인스턴트/조리식품)으로 나눠 조사를 했다.
광고 제품 중에서 음료/커피/차가 22.6%로 가장 많았으며 패스트푸드/패밀리 레스토랑(16.6%), 디저트/캔디/스낵류(15.9%), 인스턴트/조리식품(9.9%), 유제품(8.7%), 과일/채소/100% 과일주스(7.2%)순이 뒤를 이었다. 고기.생선 등 단백질 제품은 1.0%뿐이었다.
건강 관련 주장을 제시한 광고물은 전체 표본의 3분의 1에 머물렀고 그 마저도 단지 `건강에 좋다'라는 구호에 그친 것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구체적인 영양 성분을 제시한 광고물은 일반적 건강 주장을 포함한 광고물보다 훨씬 적었다. 콜레스테롤이나 카페인 등과 같은 부정적인 성분을 표시한 광고는 한 건도 없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또 전체 광고의 74.7%가 영양 성분의 포함 수준을 명시하지 않았다. 표시된 영양 성분의 절반은 미세 자막으로, 대부분 광고의 중간 부분과 화면 하단에 제시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영양 정보가 광고를 통해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
주로 음료, 패스트푸트, 스낵 등의 비건강 식품들을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소구를 통해 광고를 했으며 82%가 청소년 보호시간대에 집행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는 것이다.
대다수 국내 식품 회사들은 광고예산의 대부분을 방송에 쏟아 붓고 있다. 오뚜기.CJ제일제당.대상.풀무원. 농심.삼양식품.한국야쿠르트.남양유업.매일유업.일동후디스.파스퇴르.롯데제과.해태제과.오리온등 대형 식품업체들은 주로 청소년과 주부들이 많이 시청하는 프로그램, 저녁 뉴스 프로그램 앞과 뒤에 광고를 싣고 있다.
이 보고서는 3일 한국광고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춘계광고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