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시간 대학의 마르신 워즈나르 박사는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상태가 지속되지 않거나 원하는 시간보다 최소한 2시간 일찍 잠이 깨는 등의 수면장애 중 2가지 이상이 오래 계속되는 사람은 수면장애가 없는 사람에 비해 자살을 기도할 가능성이 평균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워즈나르 박사는 정신질환이 없는 미국 남녀 5천692명을 대상으로 수면장애와 자살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수면장애의 형태 중에서 특히 너무 일찍 잠이 깨는 사람들이 자살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복용, 결혼상태, 생활수준, 연령, 성별 등 자살과 연관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했어도 이러한 상관관계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유는 수면부족이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쳐 판단력을 저하시키고 절망감을 촉진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감정조절 기능을 지닌 뇌의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의 부족도 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워즈나르 박사는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정신의학학회 국제회의에서 발표되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