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유통되는 중금속이나 농약이 검출되는 불량 한약재의 회수율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전혜숙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품질부적합한약재 회수폐기결과보고’를 분석하고 1일 이같이 밝혔다.
식약청이 지난해 허위성적서를 발급했던 6개 업체의 한약재에 대해 재시험한 결과 부적합 한약재는 총 12품목 92톤이 수입됐고, 이중 제품화된 한약재는 83톤이었다.이 가운데 79톤이 판매됐으나, 회수량은 974kg에 불과해 회수율이 1.2%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
전혜숙 의원은 “허위시험성적서를 발급하는 등 부실하게 운영된 검사기관을 통해 수입된 많은 양의 한약재가 이미 시중에 유통·소비됐으며, 중금속 기준을 초과하거나 농약성분검사조차 하지 않은 한약재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품질부적합 한약재의 회수율이 낮았던 이유는 수입 후 시간이 경과한 것도 있지만 한약재의 수입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입출고 기록이 없는 등 이력추적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식약청은 설명했다.
전 의원은 “품질부적합 한약재의 위험이 상존하고, 농산물 상태인 한약재가 의약품·식품·화장품 원료 등으로 혼용되고 있어 관리체계가 부재한 실정”이라면서 “정부와 관련 협회 등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뒤 한약재이력추적제를 구축하기 위한 관련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