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제약 리베이트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필요한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청, 경찰조사도 배제할 수 없어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K사를 포함한 제약업계 리베이트 관련 조사는 보건복지부와 제약협회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제약업계의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찰의 본격적인 조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후폭풍이 예상된다.
제약업계로서는 오랜 관행으로 쉬쉬해 온 리베이트 문제가 낱낱이 공개될 위기에 처하게 돼 어느 때보다 바싹 긴장하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사기획 쌈의 보도 이후 보건복지부와 제약협회는 K사뿐 아니라 제약업계 전반에 대한 전방위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특히 공정위와 경찰은 방송에 나간 리베이트 관련 고발문건을 확보하고 구체적인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보건복지부 의약품정책과도 K제약사와 공중보건의 리베이트 사태와 관련해 지난 28일 전재희 장관에게 현안이 보고된 후 자체조사에 착수했다.
KBS 보도 이후 해당 K사는 동시다발로 진행되는 조사로 업무마비는 물론 공황에 빠진 상태다. 이와관련 주무부처인 복지부는 K제약에 대해 판매업무 정지 등 행정처분과 함께 형사고발조치가 불가피한 상황임을 밝혔다.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자성론과 함께 조사에 대한 불만이 뒤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동시에 대부분의 제약사들이 영업사원 내부단속에 나서는 등 행여나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여태 조용하다 방송 이후 여론에 떠밀려 급하게 조사에 착수하는 관련 당국의 움직임에 노골적인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몇몇 제약업체 관계자들은 (리베이트 수수는) 오랜 관행이니 덮고 가야 한다는 입장도 내비쳤다.한 제약사 관계자는 “제약업체 영업사원과 의사들간 약값의 25%까지 리베이트 비용으로 로비가 진행돼 온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었다”면서 “그러나 지금 같은 대대적인 수사는 너무하는 것 아니냐”면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또 “대한민국에서 로비 안하고 약장사 할 수 있는 업체가 몇이나 되겠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사태와 관련 시내 약국을 찾은 시민 L모씨는 “제약업계에 2조원대나 되는 검은돈이 돈다는 것은 결국 고스란히 약값에 반영돼 소비자가 떠안는 것 아니냐”며 “이번 기회에 제대로 된 조사를 통해 잘못된 제약계 관행이 뿌리뽑혔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현재 입법예고중인 리베이트 제공 의약품의 약가인하 규정(최대 20%)이 오는 7월1일부터 시행 될 예정이어서 이번 전방위 수사는 어느 때보다 그 상징적 의미가 크다. 업계에서는 이번 리베이트 파문을 자정과 리베이트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