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아주대병원, 세계최초 '유아머리기형 새 수술법' 개발
상태바
아주대병원, 세계최초 '유아머리기형 새 수술법' 개발
  • 이경환기자 nk@csnews.co.kr
  • 승인 2009.06.09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의료진이 조기유합증 유아의 머리기형 수술 시간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는 새 수술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아주대의료원은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박동하 교수팀은 지난 2007년 11월 부터 6개월 여 동안 ‘두개골 봉합선을 통한 신연(밀대) 수술’을 받은 환자 20명의 수술시간을 평균 144분, 평균 수혈량은 70cc로 줄였다고 9일 밝혔다.

시간과 수혈량을 줄였음에도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감염이나 수술 후 출혈이 없었고, 중환자실 체류도 단 1명이었으며 재발이나 사망한 경우도 없었다.

이들 환자의 평균 나이는 9개월(남 11명, 여 9명)이었다.

특히 기존의 두개골 조기유합증 수술은 두개골을 여러 조각으로 쪼개거나 여러 조각으로 쪼갠 두개골 조각에 밀대 역할을 하는 신연장치를 부착해 수술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윤 교수팀은 두개골을 여러 조각으로 절개하지 않고 문제가 된 봉합선만 절개한 다음 환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매일 필요한 만큼 늘려가는 수술 방식을 개발한 것이다.

또 두개골 조기유합증 수술은 보통 8~10시간 정도 걸리지만 평균 1시간 이내로 단축시킴에 따라 수술에 따른 마취, 출혈감염 등 위험을 가소시키고 수술에 필요한 수혈량도 기존 100~300cc에서 30~50cc로 줄이게 됐다.

윤수한 교수는 “이 수술법으로 유아들의 경우 두개골 조기유합증을 수술하지 않으면 뇌압상승으로 인한 뇌손상 또는 뇌발달 장애, 키아리증후군, 척수공동증으로 인한 사지마비, 수두증으로 인한 뇌성장애, 시신경손상으로 인한 시력장애가 올 수 있다”며 “이번 수술법 개발로 환자의 수술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아주대병원 윤수한 교수팀은 현재 두개골 봉합선을 통한 신연 방법을 이용해 100여건 넘게 수술을 진행해 왔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