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서 공공부문의 일자리가 속속 사라져 동절기 고용한파가 우려되고 있다.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은 금융위기 이후 악화된 고용시장을 떠받쳐줬지만, 올 사업이 이달말로 종료되는데다 국회 예산안 심사까지 늦어져 내년도 사업도 지연될 전망이다.
25일 기획재정부와 총리실,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정부가 올해 고용난 해소를 위해 시행했던 각종 일자리 사업이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중단되는가 하면, 예산 조기집행을 통해 연초부터 일자리를 만들려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올해 25만명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했던 희망근로사업은 이달 말로 종료된다. 정부는 장마 등 이유로 집행하지 못한 예산 910억 원을 12월 중에도 집행한다는 방침이지만 고용가능 인원은 크게 줄어든 6만5천명 수준에 불과하다.
더욱이 정부는 내년에도 10만명 규모로 희망근로 사업을 이어가기로 했지만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대부분 사업을 3월부터 시작한다는 방침이어서 20만명 이상의 희망근로자가 겨울 동안 일손을 놓아야만 한다.
정부의 다른 일자리 사업도 늦어질 전망이다.
4대강 예산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 탓에 국회의 예산안 심사가 늦어지면서 자칫하면 12월 하순께나 예산이 처리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그나마 공공 부문의 일자리 사업은 올해 80만명에서 55만명으로 줄인 상태다.
정부 관계자는 "이달말 계약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공공 일자리가 줄어들고 내년도 예산안 확정이 늦어질 경우 내년 2월까지 공공부문의 일자리 공백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