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3분기 중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712조8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5조원(2.2%) 늘어났다. 가계신용 잔액이 700조원을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를 통계청이 추계한 올해 전체 가구 수(1천691만7천 가구)로 나누면 가구당 4천213만원씩 빚을 진 것으로 계산된다. 추계 인구 수(4천874만7천 명)로 나누면 1인당 빚은 1천462만원이 된다.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675조6천억원으로 14조1천억원 늘었다. 신용카드사와 백화점 등을 통한 외상 거래인 판매신용 잔액은 37조2천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2분기 8조2천억원에서 3분기 4조7천억원으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도 증가액이 7조1천억원에서 4조8천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는 9월 이후 DTI 규제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 적용된데다 일부 은행이 대출채권을 유동화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2분기의 2조9천억원에서 5조5천억원으로 커졌으며 여신전문기관과 국민주택기금 등 기타 금융기관 대출도 보험기관과 국민주택기금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2조7천억원에서 3조9천억원으로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DTI 규제 강화로 예금은행에서 대출이 어려워지자 비은행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며 "10월부터 DTI 규제가 2금융권으로 확대됐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