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코레일에 따르면 노조가 지난 26일 파업에 돌입한 이후 투입한 대체인력은 5천600여명 중 1천200여명이 퇴직 기관사와 군 병력, 철도대학생 등 외부 인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 외부 인력들이 상당기간 현장을 떠나 있었거나 경험이 부족으로 인해 운전 미숙 등으로 열차가 지연되거나 승강장 탑승구에 제대로 맞추지 못한 채 멈춰서기도 하는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
지난 27일 국철 1호선 구로역에서 선로전환기계가 고장 나 열차 운행이 40분에서 최대 1시간가량 늦어진 것도 군인 기관사의 운전미숙으로 발생했다.
노조측은 "대체인력 중에는 철도경험이 적거나 고령자까지 있어 만약의 사고때 대처능력이 떨어지고 업무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도 우려된다"며 "공사측이 열차 운행률 높이기에만 집착해 대체인력을 마구잡이로 투입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관계자는 "대체 투입 인력은 낯선 코스를 운행하다 보니 곡선 철로 등 지형에 혼란을 겪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겠지만 파업 초기에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