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총부채상환비율(DTI) 반사이익과 세제혜택 등으로 달아오르던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이 급속히 가라앉고 있다.
한두달 전만 해도 수도권 신규 분양 아파트 시장은 고분양가 논란을 빚은 아파트들까지 높은 경쟁률로 1순위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최근 수도권은 물론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마저 1순위 미달이 속출하는 등 분위기가 반전하고 있다.
반면 서울 강남 등 입지가 뛰어난 지역에서 분양된 일부 아파트만 높은 경쟁률로 마감되는 등 분양시장이 `양극화'하고 있다.
7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서울 서대문구 가재울뉴타운에 들어서는 삼성물산ㆍ대림산업의 `가재울래미안ㆍe편한세상'은 지난 2일 625가구에 대한 1순위 청약에서 16개 주택형 중 대형 4개 주택형이 미달됐다.
현대엠코의 상봉동 주상복합 아파트 `프레미어스 엠코'도 총 464가구 모집에 1순위에서는 309명만 청약했고 13개 주택형 중 2개는 3순위에서도 끝내 미달이었다.
마포구 공덕동 주상복합 `마포 펜트라우스'는 3.3㎡당 분양가가 주변시세보다 높은 2천360만원대로 책정됐는데 결국 7개 주택형 중 6개가 3순위에서도 미달됐다.
대림산업의 `고양 원당 e편한세상' 일반분양분 310가구도 1순위 청약에서 대거 미달된 뒤 3순위에서 겨우 모집가구 수를 채웠으며, 가장 많은 148가구를 모집한 최대면적의 141.55㎡형(전용 기준)은 3순위까지 신청자가 한명도 없는 수모를 겪었다.
반면 분양가가 높더라도 입지 등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갖춘 아파트들은 여전히 치열한 청약경쟁률을 보였다.
삼성물산이 지난달 경기도 광교신도시에 일반분양한 `래미안 광교' 610가구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55.08대 1, 최고 775대 1의 높은 경쟁률로 전 주택형이 마감됐고 호반건설의 `광교 호반베르디움' 512가구 역시 평균 31.92대 1, 최고 76.75대 1의 높은 경쟁률로 1순위에 마감됐다.
서울 강남권에 자리한 대림산업의 `서초 교대 e편한세상' 72가구는 3.3㎡당 평균 2천800만원대의 높은 분양가에도 1가구만 모집한 최대면적 주택형을 제외한 9개 주택형이 모두 1순위에서 마감됐다.
같은 회사의 `방배 서리풀 e편한세상' 99가구도 최고 10.25대 1의 경쟁률로 전주택형이 1순위 마감됐다.
전문가들은 내년 2월 양도세 감면 혜택 종료시한을 앞두고 건설사들의 `밀어내기' 분양으로 물량은 늘어난 반면 수요자들은 청약에 더 신중해진 점이 분양시장의 `양극화'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DTI 규제 확대로 일반 매매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꺾였고, 이 때문에 아파트를 분양받아도 큰 시세차익을 얻기 어렵다고 판단한 수요자들이 입지 등 투자가치를 더 민감하게 살피게 됐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