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이통업계, '꺼진불'무선랜 와이파이 투자 재점화
상태바
이통업계, '꺼진불'무선랜 와이파이 투자 재점화
  • 강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12.08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이폰  도입으로 무선인터넷 수요가 폭발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통신업계가 그동안 외면해온 무선랜 와이파이(Wi-Fi)에 대한 투자를 다시 늘리고 있다.

와이파이는 유선인터넷 끝단에 접속 장치인 AP(Access Point)를 설치해 반경 수십m 거리에서 초고속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하는 설비지만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대신 수익성이 불투명해 그동안 외면받아왔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그동안 수익성이 없는 와이파이에 대한 투자 확대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바꿔 최근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다.

SK텔레콤은 투자규모나 전략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와이파이 네트워크 투자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를 통해 와이파이 설치에 나서기 보다는 독자적으로 와이파이 핫존을 설치하는 방향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합병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LG통신 계열도 4G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 방향과 별도로 와이파이에 대한 투자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LG 통신 계열사 관계자는 "합병 법인에서 내년 3-4월께 FMC(유무선융합)를 선보인다는 계획이어서 와이파이 투자 확대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다만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아는 최적의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LG데이콤은 인터넷전화 보급을 통해 지난달말 현재 207만명인 가입자 기반의 와이파이 AP를 확보하고 있지만, 집, 사무실 밖의 옥외에는 무선랜 이용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KT는 보다 적극적이다. 현재 유료 무선랜 서비스 지역인 `네스팟'을 전국에 1만3천개를 운영해오고 있으며 내년에는 5만∼6만개 지역으로 3-5배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한때 50만에 이르렀던 가입자가 30만으로 줄면서 2005년 이후 네스팟 지역 확대를 중단했었다. SK브로드밴드의 전신인 하나로텔레콤과 LG데이콤도 2002년 유료 무선랜 사업에 나섰다가 이후 사업을 접었다.

KT는 네스팟 지역을 다시 늘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기존 무선랜 설비를 고급화하기로 했다.

이를위해 기존 제품보다 6배 빠른 IEEE 802.11n 제품을 도입하기로 하고 구매 작업에 돌입했다.

KT는 향후 FMC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선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