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OECD가 최근 발표한 'OECD 건강지표 2009'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5년(2002-2007년) 상대 생존율은 OECD평균 81.2% 보다 5.7% 포인트 낮은 75.5%로 나타났다. 이는 폴란드(61.6%), 체코(75.4%)에 이어 세번째로 낮은 수치였다.
한국인의 자궁경부암의 5년간(2002-2007년) 상대생존율은 76.5%로 OECD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었다.
또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가 30일 이내 사망할 확률은 8.1%로 OECD 평균치 5.0% 보다 크게 낮았다. 대장암은 58.1%로 OECD 평균(57%) 수준이었다.
고혈압 입원율과 천식 입원율로 본 만성질환 관리 성과는 각각 인구 10만 명당 191명과 97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에 비해 낮았다.
뇌졸중 30일 사망률은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2.4%,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 11.0%로 OECD 평균치 5.0%, 19.8% 보다 각각 높았다. 당뇨병 급성합병증과 당뇨병 하지 절단율은 각각 인구 10만 명당 17명과 8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다.
소아 백일해 예방접종률과 홍역 예방접종률은 각각 91.0%와 92.0%로 OECD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65세 이상 인구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77.2%로 OECD 평균(55.3%)보다 높았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