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와 삼성경제연구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을 포함해 세계 주요 5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브랜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NBDO(Nation Brand Dual Octagon)'라고 이름붙인 이 지수는 통계 수치를 반영한 `실체'와, 26개국 오피니언 리더 1만3천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인 `이미지'로 나뉜다.
한국이 종합순위 19위로 나타난 실체 브랜드지수는 미국이 1위였으며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스웨덴, 스위스,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가 뒤를 이었다.
한국은 과학ㆍ기술(4위), 현대문화(8위), 유명인(10위) 등 3개 항목이 10권에 랭크됐다. 반면 정부효율성(24위), 인프라(25위), 국민(33위), 전통문화ㆍ자연(37위)은 점수가 낮았다.
한국이 종합순위 20위를 기록한 이미지 브랜드지수에서는 프랑스가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일본, 스웨덴, 영국, 독일, 미국, 스위스, 캐나다, 네덜란드, 이탈리아 순이었다.
한국은 과학ㆍ기술(9위)과 경제ㆍ기업(15위)이 종합순위를 웃돌았지만 인프라(21위), 국민(22위), 현대문화(24위), 정부 효율성(27위), 유명인(27위), 전통문화ㆍ자연(34위) 등 나머지 항목은 모두 취약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이동훈 수석연구원은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인프라, 정부효율성, 국민, 전통문화ㆍ자연 분야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