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우리금융 민영화 해법, 분산이냐? 합병이냐?
상태바
우리금융 민영화 해법, 분산이냐? 합병이냐?
  • 임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12.18 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에서 꾸준히 제기돼 오던 합병을 통한 우리금융의 민영화 방안을 정부가 언급하고 있어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권도 `합병 후 지분 매각' 방안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가진 정부나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인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은 66%로, 이 중 블록세일 등으로 처리가 가능한 소수지분을 제외하고 경영권과 관련한 지배 지분인 `50%+1주'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민영화의 핵심이다.

17일 기준 우리금융 종가(1만5천300원)로 계산하면 지배지분 가치는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할 경우 7조원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덩치가 너무 커서 선뜻 인수자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정부의 고민.

하지만 다른 금융지주회사와 우리금융을 주식 맞교환을 통해 `대등 합병'하면 정부의 지분은 낮아지게 되고 투자 매력도 높아져 나중에 지분을 팔기가 쉬워진다는 것이다.

2개 기관이 합쳐지면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영업력이 좋아져 투자가치가 커지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이 지난 16일 "합병을 하게 되면 기업가치를 올릴 수 있고 파는 것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때문에 어느 금융회사와 합병을 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중 어느 한곳과 손을 잡으면  국내 은행권 판도가 달라진다.

일각에서는 하나금융지주와의 합병을 점치고 있지만 `특혜시비'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다.

또 국민, 신한, 하나은행이 우리은행 또는 외환은행과  합병하면 상위 3곳의 총자산 기준 시장점유율이 75%를 넘어 금융의 독과점 논란이 제기될 수있다.

산은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등과의 합병은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의 하나로 다수에 대한 분산 매각도 검토하고 있다. 국민연금과 여러 산업자본, 외국계 금융회사에 지분을 5~10% 안팎으로 쪼개서 파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금융 단독으로 지분을 쪼개 팔면 투자 매력이 떨어져 투자자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분산 매각 역시 합병 이후 지분 매각 방안으로 고려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