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암 발생률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갑상선암 환자가 급증하면서 위암에 이어 두번째 암으로 떠올랐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는 2006년과 2007년 암발생률을 산출한 결과 암발생자수는 2006년 15만3천237명에서 2007년 16만1천920명으로 5.6% 늘어났다고 21일 밝혔다.
암 발생은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연간 2.9%씩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성의 암 발생 증가율이 4.9%로 남성 1.3%에 비해 더 높았다.
특히 이 기간에 갑상선암 환자는 남성은 24.5%, 여성은 26%나 급증했다.
2007년 갑상선암 환자는 2만1천178명으로 2006년 1만6천414명보다 무려 29%나 증가했다. 갑상선암의 급증은 종합검진시 초음파 진단 확대 등으로 발견율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암 발생 현황을 보면 위암 환자가 전체 암 발생자 가운데 2만5천915명으로 1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갑상선암 2만1천178명(13.1%), 대장암 2만558명(12.7%), 폐암 1만7천846명(11%), 간암 1만4천924명(9.2%), 유방암 1만1천639명(7.2%), 전립선암 5천292명(3.3%) 순이었다.
암 조기검진 사업과 치료기술의 향상 등으로 암 환자의 의학적 완치 기준인 5년간 생존율은 2003∼2007년 57.1%로 2001∼2005년 53.1%, 1996∼2000년 44%와 비교해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