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충북도에 따르면 6일부터 22명의 감사반을 구성해 청주시 공무원들의 시간외 근무수당 수령 실태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지난 2년간 근무를 하지 않고도 한 것 처럼 속여 시간외 근무 수당을 타낸 공무원 수백여명을 적발했다.
도는 당초 시 본청과 2개 구청, 2개 산하 사업소와 3개 동사무소에 대해서만 10일까지 샘플 감사를 벌일 계획이었으나 감사 과정에서 상당수 공무원들이 관행적으로 부당하게 시간외 근무수당을 받은 것으로 드러난데다 샘플조사에 대한 형평성 시비가 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1천880여명의 시 공무원 전체를 대상으로 전면적인 감사를 벌였다.
도는 사무실 무인 경비 해제 및 잠금 시각과 사무실 개인 PC의 인터넷 접속 시각이 일치하는 지 여부 등을 통해 시간외 근무 수당 수령이 적법했는지 여부에 감사 초점을 맞춰왔다.
이번 감사 결과 특히 수십여명의 공무원들은 지난 2년간 한 달도 빠짐없이 매달 시간외 근무수당 신청 최고 한도인 67시간을 신청해 수당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일부 공무원들은 아예 사무실에 들어 오지 않은 채 청사 입구에 설치된 지문 인식기를 통해 시간외 근무를 한 것 처럼 체크했거나 시험 감독을 하던 시간에도 사무실에서 근무를 한 것 처럼 속여 수당을 타내기도 했다.
도는 이번주까지 감사를 끝낸 뒤 부당하게 시간외 근무 수당을 챙긴 공무원들에 대해 지난 2년치 시간외 근무수당 수령액을 환수하고 상습적이고 고의성이 짙은 공무원들에 대해서는 중징계 조치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워낙 많은 공무원들이 연루돼 있어 부당하게 수당을 챙긴 사례를 정확하게 집계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다음주까지 감사를 마무리한 뒤 결과를 언론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시민단체들이 지난달 청주시 공무원들이 부당하게 시간외 근무수당을 챙긴 의혹이 있다며 주민감사를 청구하자 이달 6일 감사에 착수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