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전직 국립대 총장과 도 교육위원을 역임한 국립대 교수가 대외적으로 공개된 학력이 부풀려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을 빚고 있다.
27일 서울대 등에 따르면 이정재(61) 전 광주교대 총장은 포털사이트, 저서, 교육감 선거 홍보물 등에 서울대에서 수학교육 학사학위를 받은 것으로 표기돼 있다.
전라북도 교육위원을 맡고 있는 군산대 박모 교수도 `서울대 졸업' 또는 `서울대 이학사(理學士)' 등으로 소개돼 있다.
하지만 서울대는 이 전 총장과 박 교수가 당시 2년제이던 광주교대와 군산교대를 졸업한 뒤 초등학교 교사로 지내다 서울대 사범대 부설 교원교육원(수학과)을 수료했을 뿐 서울대 학사학위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서울대 관계자는 "교원교육원은 당시 수급 부족을 겪던 중등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 방침에 따라 잠시 운영하다 폐지됐다. 이 곳은 학위 취득과는 무관하게 중등교원 자격만 주는 `교원 양성소'였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총동창회 역시 "학부나 대학원 졸업이 아니더라도 학교측의 인정을 받는 과정을 수료하면 총동창회 준회원으로 가입되는데 이들은 회원 명부에 올라있지 않다"고 확인했다.
이같은 사실에 대해 이 전 총장과 박 교수는 "담당 조교의 실수이거나 출판사 측의 마케팅 전략 탓이다. 교수 임용이나 승진 과정에서는 학력을 정확하게 표기했다"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의 학력위조 파문을 의식한 듯 각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에 연락해 자신의 학력을 정정하는 해프닝이 일부 빚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교수 임용ㆍ승진 서류에서만 자신의 학력을 정확히 기입하고 일반에는 부풀려진 학력을 공개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들이 국립대 총장 또는 도 교육위원 등을 지냈으며 학생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야 할 교사를 양성하는 교대 교수 등인 점을 감안하면 조교나 출판사의 책임으로 돌리는 자세도 비판의 소지가 있다.
서울대 사범대 한 교수는 "교원교육원은 모 교대 공업교육과를 나온 인물에게 수학교사 자격증을 주는 등 중등교원 수급 부족을 급히 채우기 위해 만들어졌던 한시 과정"이라며 "이 곳을 수료하고서 서울대 학사 학위를 받았다고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책임 여하를 떠나 교육자로서 떳떳하지 못한 자세"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