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이 금고의 실제 소유자 파악에 나서는 한편 서로 횡령 혐의를 서로 떠넘기고 있는 신씨와 박문순 성곡미술관 관장을 27일 다시 소환해 대질신문을 통해 진위를 밝힐 계획이다.
신씨는 검찰에서 대기업들이 성곡미술관에 후원한 자금을 빼돌려 박 관장에게 상납했으며 그 대가로 오피스텔 보증금 2000만원과 1300만원짜리 목걸이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에 대해 박 관장은 “오피스텔 보증금을 대납한 적이 없으며 1800만원짜리 목걸이를 선물했지만 대가가 없는 것이었다”고 신씨의 주장을 강하게 부인했다.
하지만 27일 새벽 조사를 마치고 서울 천호동 강동가톨릭 병원으로 돌아온 신씨는 병실에서도 같은 주장을 되풀이 했다. 신씨의 변호인인 박종록 변호사는 “계좌에 대해서 자신은 명의만 빌려줬을 뿐 박 관장 것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모른다”고 말했다.
또한 보증금을 내지 않았다는 박 관장의 주장에 대해 “웃기는 얘기”라며 “상식적으로 받은 사람이 받았다고 하는데 준 사람이 안 줬다고 하는 셈이다”고 코웃음을 쳤다.
박 변호사는 또한 “심부름 시키고 밥을 살 수도 있고 선심 쓸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성곡미술관의 월급이 300만원이었는데 따로 목걸이를 왜 주었겠느냐?”고 반문해 목걸이가 신씨에 대한 상납 대가임을 거듭 주장했다.
일단 검찰은 신씨에 진술에 비중을 두고 있지 않은 분위기다. 수사 초기에 보증금을 신씨 본인이 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목걸이 또한 횡령과 관계없는 물품이라는 것이 검찰의 생각.
하지만 검찰은 박 관장이 대기업 후원금을 조달하는 신씨와 공모해 횡령에 일부분 개입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 박 관장에 대해서는 혐의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조사 과정에서 박 관장의 혐의 사실이 확인되면 사법처리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27일 오전 박 관장, 신씨를 함께 불러 대질신문 등을 통해 신씨의 횡령 혐의에 대한 보강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신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방침이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