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에 까다로운 기준을 부과해 가혹한 대출금리를 적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다수 시중은행이 중소기업에 대해 10~20개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가운데 1등급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7개 은행권 주요 금융회사 중 국민, 기업, 신한, 우리은행 및 농협중앙회에서 5월말 기준으로 대출을 받은 중소기업 중 신용 1등급 기업 비중은 0%였다.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의 1등급 중소기업 비중은 각각 0.02%, 0.01%로 사실상 없는 것이나 다름 없었다.
이에 비해 외국계은행인 한국씨티은행의 1등급 기업은 0.40%로 국내 은행에 비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은행은 원리금 상환 능력이 최상이면서 여신에 따르는 위험이 없는 중소기업을 1등급 기업으로 규정한다. 즉 중앙정부.중앙은행.지방자치단체.특수공공법인.특수은행 등과 어깨를 겨룰 만큼 안정성이 높은 기업이다.
A은행의 경우 신용 1등급 기업에 대해 1천억원까지 신용을 공여하며 적용금리도 양도성예금증서에 1.84~2.64%를 더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한편 농협의 경우 전체 18등급 중 12등급에, 신한은행은 20등급 중 13등급에, 우리은행은 14등급 중 8등급에, 하나은행은 11등급 중 6등급에 가장 많은 기업이 몰려 있었다.
차 의원은 "대출을 받고 있는 업체 중 1등급 비중이 0%라는 것은 은행들이 그만큼 중소기업에 가혹한 기준을 들이대 결과적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적용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특히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기업에나 적용하는 저금리를 미끼로 중소기업을 현혹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1등급에 상당히 높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1등급 기업은 재무상태가 워낙 좋아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