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신씨의 해외계좌에 수억원이 예치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신씨가 탈법적으로 모은 자금이 은닉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자금의 출처를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신씨가 공금으로 처리하지 않고 빼돌린 조형물 설치 리베이트와 허위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조성한 성곡미술관 대기업 후원금이 이 계좌로 유입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자금의 흐름을 쫓고 있다.
검찰은 앞서 한 참고인 조사에서 신씨가 기업체에 그림 매입을 알선한 뒤 그림값을 해외계좌로 보내라고 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신씨가 가지고 있는 국내외 계좌는 모두 확보했다"며 "빼돌려진 미술관 공금이 해외계좌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검찰은 지난 달 28일 동국대 예산관련 부서들에서 압수한 컴퓨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대검으로부터 전해 받아 분석에 착수했다.
검찰 관계자는 자료 분석을 통한 물증확보에 집중하기 위해 이날 변 전 실장, 신정아씨, 성곡미술관 박문순 관장에 대한 소환조사를 자제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동국대가 신씨를 임용한 2005년부터 교육부 예산이 급증한 사실에 주목하고 변 전 실장(당시 기획예산처 장관)이 신씨 임용의 대가로 동국대에 특혜를 준 정황이 있는지 캐고 있다.
교육부의 동국대 지원은 2005년 35억여원에 그쳤으나 신씨 임용 이듬해인 2006년에는 100억여원, 올해는 61억여원으로 뛰어올랐고 검찰은 참고인으로 소환한 동국대 교수로부터 `신씨를 임용하면 대학 재정에 도움이 된다'는 진술을 확보한 바 있다.
검찰은 동국대 예산부서 관계자를 참고인으로 소환해 변 전 실장이 홍기삼 전 동국대 총장을 직접 만나 신씨의 교원임용을 청탁한 뒤 대가성으로 지원된 국고가 있는지 조사 중이다.
한편 검찰은 성곡미술관을 후원한 기업체의 관계자들을 줄소환해 신씨가 후원금을 모집하는 과정에 변 전 실장이 외압을 행사했는지, 그 대가로 인사ㆍ규제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청탁을 받았는지 캐묻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