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법무부가 국회 법사위 최병국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검찰이 관리하고 있는 국내 조직폭력단은 모두 471개파로 산하 조직원은 모두 1만1천476명이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지검 관할이 칠성파 등 101개파 1천833명으로 가장 많았고 수원지검이 수원남문파 등 45개파 1천581명, 광주지검이 국제PJ파 등 33개파 1천542명, 서울중앙지검이 신림동이글스파 등 81개파 1천193명으로 뒤를 이었다.
전주지검(전주월드컵파 등 16개파 953명), 청주지검(청주시라소니파 등 10개파 636명), 대전지검(신왕가파 등 26개파 522명) 관할 지역도 관리 대상 조직폭력배가 상대적으로 많은 곳으로 꼽혔다.
조직폭력단끼리 이권을 놓고 `전쟁'을 벌이거나 술집 등 업소를 협박해 돈을 뜯어내다 적발된 사례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경기도 수원에서 수원남문파 조직원 15명이 경쟁 세력인 역전파 조직원의 숙소를 습격해 4명을 숨지거나 다치게 한 일이 발생하는 등 올해 상반기에만 주요 사건에 연루돼 구속된 조직폭력단 조직원이 75명이나 됐다.
법무부는 2003년 4월 러시아 마피아 조직 두목이 부산에서 반대파 조직원에게 피살되기도 했지만 아직 국내에 조직 체계를 갖춘 국제 폭력조직은 활동하고 있지 않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최 의원은 "검찰이 관리 대상에 못 올리고 있는 신흥 조직이나 기존 조직의 하위 조직원들까지 포함하면 조직폭력배의 수는 훨씬 많을 것"이라며 "시민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검ㆍ경이 조폭 단속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