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를 시작으로 주요 포털 사이트들이 아이핀 도입으로 인해 굳이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된 회원정보 폐기에 나선다면, 대량의 개인정보가 판촉용 등으로 불법 매매되거나 해킹을 통해 유출되는 위험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아이핀 시범서비스를 시작함에 따라 향후 이용자가 원할 경우 해당 가입자의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신용정보기관 등에 영구히 위탁하고 그동안 보관한 정보를 폐기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네이버는 그동안 신규 가입 단계에서 가입자로부터 의무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실명제를 운영하며, 단일 사이트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2천500만명의 회원정보를 보관해 왔다.
네이버는 아이핀 시범 기간에는 신규 가입자가 아이핀을 입력하더라도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를 같이 제공하도록 하지만, 향후 아이핀으로만 가입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렇게 될 경우 굳이 기존 회원의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할 명분이 없어지게 된다.
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팀 관계자는 "현행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사업자는 이용자가 기존의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철회하면 즉시 관련 정보를 삭제해야 한다"며 "따라서 이용자가 아이핀 사용을 원하는 경우에는 기존 포털이 보관해 왔던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해 삭제요청할 법적 권리가 있다"고 했다.
정통부는 내년 상반기 아이핀 등 주민번호 대체수단의 도입 의무화를 통해 이용자 선택에 따라 네이버뿐 아니라 다수의 포털이 기존에 보유했던 주민번호를 폐기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정통부는 나아가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주민번호 등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모두 인증기관에 보관하는 대신 네티즌이 하나의 아이디로 모든 사이트를 넘나들 수 있는 오픈 아이디 개념의 `디지털 아이디' 사용으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아이핀이 통용되지 않고 있는 인터넷 결제 서비스에도 아이핀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관계자는 "향후 아이핀이 정식으로 도입되고 결제서비스에도 아이핀이 적용될 경우에는 굳이 네이버가 가입자 주민번호를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현재 시범서비스 단계에서는 신규 가입자 외에 기존 가입자가 아이핀으로 다시 가입을 하고 기존 주민번호 정보를 폐기할 수 있을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