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정보통신부가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김희정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자정부의 기반 인프라 역할을 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의 장비 국산화율이 15%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가가 주도하는 전자정부 사업에 우리나라 IT업체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해 이들 업체가 국내외 사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김 의원 측의 지적이다.
실제로 정부통합전산센터 가운데 제1센터의 경우 전체 장비 5천539대 가운데 국산장비가 802대로 14.5%에 불과했다.
특히 백업장비는 100% 외산 장비였고 스토리지와 서버는 각각 99.7%, 92.1%가 외산으로 확인됐다.
제2센터는 전체 장비 1천242대 가운데 국산장비는 165대로 제1센터보다도 낮은 13.3%의 국산 장비 비율을 나타냈다.
네트워크 장비는 외산 비율이 무려 96.0%로 집계됐고 서버와 스토리지는 각각 92.9%와 92.0%가 외산 장비였다.
정통부는 이처럼 국산장비 도입이 저조한 배경에 대해 서버, 스토리지, 백업장비 등에서 관련 국산제품이 없거나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그러나 "전자정부의 기반인프라 역할을 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국산화율이 15%가 되지 않는 것은 문제"라며 "국산제품 가운데 경쟁력이 있는 보안장비로 국산화율을 높이면서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기능을 고려해 국산 장비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