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노후 대비 못하는 이유는 소득 적기 때문
상태바
노후 대비 못하는 이유는 소득 적기 때문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1.06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가구의 30.5%는 노후대비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가구의 기대수명은 78.1세, 희망정년은 65.4세인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6일 2007년 4.4분기 소비자태도조사 부가조사로 '노후대비에 대한 가계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전체 조사대상 가구의 30.5%는 노후대책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 가운데 63.3%는 소득이 부족해 준비를 못하고 있다고 답했고, 17.4%는 소비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특별한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가구와 아직은 필요한 시기가 아니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각각 9.8%와 9.5%를 차지했다.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연령대가 높을수록 부족한 소득 탓에 노후에 대비하지 못하는 가구의 비중이 컸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전체 조사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78.1세까지 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65.4세까지 일하기를 희망했다.

   희망정년은 연령이 높을수록 늘어나 20대와 30대는 각각 평균 59.6세와 62.1세에 정년을 맞기를 희망한 반면, 40대와 50대는 각각 64.7세와 68.4세를 희망했다.

   한편 현재 노후에 대비한 준비를 진행중인 전체 조사대상 가구의 69.5%는 은퇴 후의 생활비가 은퇴 전 5년간 평균소득의 약 55.2%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노후대비를 하는 가구의 78.9%는 현재의 노후대비가 은퇴후의 생활에 부족하다고 응답했으며 54.7%는 월평균 소득의 10% 미만을 국민연금을 제외한 노후대비에 지출한다고 응답했다.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에서 노후대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증가했다.

   노후에 대비하고 있는 가구 중 42.8%는 연금을 주된 노후대책 수단으로 지목했으며 이 중 국민연금은 21.9%, 개인연금은 20.9%가 각각 차지했다.

   연금 외에 기타 노후대책 수단으로는 부동산(20.1%), 보험(17.1%), 은행예금과 적금(11.8%), 주식.채권(5.3%), 자녀의 지원(1.4%) 등이 꼽혔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국민연금의 중요도가 감소하고 개인연금의 중요도는 증가했다.

   노후대비를 하는 가구의 61.0%는 노후대비가 현재 소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응답했다.

   전체 조사대상 가구의 44.3%는 현행 국민연금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연금재정의 고갈을 지목했으며, 62.9%는 종업원의 정년연장, 사용자의 인건비 부담축소 등의 장점을 가진 임금피크제를 통한 정년연장에 찬성했고, 53.3%는 노후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대책으로 노인층의 일자리 창출을 지목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