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삼성전자·삼성물산 주총에 전자투표 도입...현대차는 전 계열사에 시행
상태바
삼성전자·삼성물산 주총에 전자투표 도입...현대차는 전 계열사에 시행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20.03.02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자투표제' 도입에 미온적인 반응이었던 삼성그룹이 올해 삼성전자(대표 김기남)와 삼성물산(대표 이영호·고정석·정금용)에서 먼저 전자투표를 시행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올해 주총에서 전체 상장계열사에 전자투표를 실시하고, SK그룹은 SK(주)와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핵심 계열사에서 전자투표를 실시할 방침이다.

LG그룹은 전자투표 도입을 결정한 계열사가 아직 한 곳도 없고, 롯데그룹은 롯데하이마트만 전자투표 도입을 결정한 상황이다. 

전자투표제는 주총이 열리기 전 열흘간 주주들이 온라인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다. 주총장에 직접 참석하지 않아도 본인 인증만 하면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주요 주총 안건 표결에 참여할 수 있다.

◆ 삼성그룹 계열사 전자·물산 도입... 금융계열사 등은 아직

삼성전자는 오는 3월 18일에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전자투표제를 사상 처음으로 도입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30일 열린 이사회에서 의결권 행사에 있어 주주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기로 결의하면서 제도 도입을 공식화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2018년 1월 액면분할 이후 소액주주가 급증했고 지난해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주총장 입장이 어려울 만큼 주주들이 몰려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소액주주수는 약 60여만 명에 달하고 있다.

올해 주총에서 전자투표제가 처음 도입되면서 일반 주주들도 주총장 방문 없이 의결권 행사가 가능해지면서 지난해와 같은 주총 대란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를 도입한다. 사진은 지난해 정기주주총회 당시 김기남 대표이사가 인삿말을 하는 모습
▲삼성전자는 올해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를 도입한다. 사진은 지난해 정기주주총회 당시 김기남 대표이사가 인삿말을 하는 모습

삼성물산도 지난 26일 이사회를 열고 오는 3월 20일에 열리는 정기주총부터 전자투표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의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중 일부로 주주참여 확대 차원에서 전자투표제를 도입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두 회사 모두 전자투표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맡긴 점도 흥미롭다. 그룹 계열사인 삼성증권(대표 장석훈)이 올해부터 '온라인주총장' 플랫폼으로 시장에 진출했지만 두 회사는 대행 기관으로 예탁결제원을 선택했다.

반면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을 제외한 다른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는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 전자투표 대신 직접투표 혹은 대리인을 통한 투표 방식으로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다.

금융 계열사 중 맏형 격인 삼성생명(대표 현성철)은 올해 전자투표 도입이 예상됐지만 아직 도입 계획이 없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전자투표제 도입은 지속 검토중이나 올해 주주총회에서는 도입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전자투표 플랫폼 시장에 진출한 삼성증권도 정작 자사 주총에서는 전자투표제를 도입하지 않는다. 삼성증권의 전자투표 플랫폼인 '온라인 주총장'은 올해 처음으로 서비스가 시작되지만 벌써 200여 개가 넘는 상장사와 계약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 현대차그룹 전 계열사에 적용, SK그룹은 핵심 계열사 우선 도입

한편 국내 5대 그룹의 경우 전자투표제 도입 여부에 대해 그룹사별로 온도차가 있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올해 주총부터 모든 상장 계열사에서 전자투표제가 시행되고 SK그룹도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주력 계열사를 중심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하는 곳이 상당수다.

반면 롯데그룹은 전자투표제 도입 확대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롯데하이마트 1곳만 도입이 확정됐고 LG그룹은 현재까지 전자투표제 도입을 결정한 계열사가 없다.

재계 및 학계에서는 주주친화정책의 일환으로 일부 그룹 계열사가 선제적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업사냥꾼을 중심으로 한 경영권 위협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점을 가장 큰 걸림돌로 보고 있다. 주총장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 위임 등의 방법으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도 근거가 되고 있다. 

거꾸로 지분 구조상 우호지분을 이미 상당수 확보한 곳은 정족수 미달로 인한 주총 미개최 및 안건 부결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어 선제적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경우도 있다. 

대기업 계열사 관계자는 "매년 주총 개최 정족수를 충분히 채웠기 때문에 회사 내에서도 아직 도입 여부에 대한 논의는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해지고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면접촉에 부담을 느끼는 주주들이 많아지면서 전자투표제 도입 확대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도입을 검토하는 회사들도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시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자투표제 도입이 주총 참여에 소극적이던 소액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지배주주들이 자신들의 상황에 따라 대체로 소극적으로 도입해온 측면이 있다"면서 "아직 도입을 하지 않은 곳도 의결 정족수 문제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도입을 고려하게 될 것 같고 다만 가능성은 낮아보이나 주총 연기 가능성도 있다면 아직도 지켜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