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개별 의안에 대한 반대 행사는 오히려 전년보다 줄었고, 의결권 자문사와의 의견 일치율은 하락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사가 보유하거나 자사가 운용하는 펀드가 투자한 지분 중 투자금액 100억 원 이상 또는 지분율 5% 이상 상장사에 대한 의결권 행사 여부를 공시하고 있다. 집합투자기구 자산총액 대비 100분의 5이상이거나 금액이 100억 원 이상인 주식에 대해 의결권 행사 내역을 공시해야한다는 자본시장법을 준용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주주활동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총 183개사, 1285개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했다. 전년 대비 의결권 참여 회사 수는 41개사, 안건은 288건 늘었다.

지난해 의결권 행사 내역 중 정기주주총회 안건은 1214건, 임시주주총회 안건은 71건이었고 이 중 찬성건수는 1169건, 반대건수는 89건, 중립건수 18건, 불행사 9건이었다. 찬성건수는 314건, 중립건수는 6건 늘었지만 반대건수는 오히려 25건 줄었다. 의결권 행사가 29% 증가한 반면, 반대건수는 21.9% 감소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의결권 행사는 주식운용부문 CIO를 위원장으로 하는 투자전략위원회가 의사결정프로세스를 통해 결정하고 있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의결권 자문사 권고 의견과 같은 의견을 행사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일치율'도 떨어졌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의결권 행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과 서스틴베스트를 ESG(환경·사회·지배구조)평가 데이터 및 리서치 제공 자문사로 선정해 의사 결정에 참고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해 의결권 자문사가 의견을 제시한 911개 안건 중에서 108건에 대해 다른 의견을 냈다. 의견 일치율은 88.03%로 전년 대비 5.47% 포인트 하락했다. 의결권 자문사는 찬성했지만 미래에셋운용이 반대한 안건은 2건, 의결권 자문사가 반대했지만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찬성 의견을 낸 경우는 106건이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의결권 자문사에 비해 반대보다는 찬성표를 더 많이 던진 것이다.

지난해 3월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에 대한 주총 안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지분을 각각 2.9%와 2.6%를 보유한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이 두 회사에 제시한 주주제안건에 대해 모두 반대했지만 의결권 자문사는 일부 안건에 찬성 의견을 냈다.
엘리엇은 현대차에게 ▲배당확대 ▲이사보수위원회 및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사외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안건 등을 제시했지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주주제안 안건이 회사 전체의 이익과 장기적인 주주가치 제고에 부합하지 않다는 의견으로 반대했다.
반대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일부 상장사에 대해 과소배당, 과도한 이사보수한도 등 주주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일부 의안에 대해서 반대 의견을 냈지만 의결권 자문사가 찬성 의견을 낸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경영참여를 통한 지배구조 개선을 우선시하는 의결권 자문사와 달리 운용사들은 고객 수익률을 투자판단의 1순위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의결권 자문사와 운용사의 입장은 다를 수 있어 의견 불일치는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8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후 시작한 주주관여활동도 전년도와 동일하게 1건에 머물렀다.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대 주주로 있었던 태평양물산에 대해 공개서한을 보내 기업가치 개선을 요구하는 스튜어드십 코드를 발동했다.
당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부채비율 감축의 일환으로 태평양물산 사옥 등 유휴재산 매각을 통한 부채비율 감축을 요구했다. 그러나 태평양물산 측은 제안에 대해 사옥매각 후 재임차를 하더라도 손실규모가 비슷하다는 점에서 거절했고 대신 수익성 강화 및 부채 감소를 통해 투자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 활동에 주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해 하반기 스튜어드십 본부를 신설해 주주관여활동을 펼칠 대상 기업을 물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운용 및 리서치부서 및 내부통제 부서와의 협업 프로세스를 마련했고 올해도 적극적인 주주관여활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향후에도 깊이 있는 기업 및 의안 분석을 통해 주주가치 보호 차원에서 필요한 주주관여활동 및 의결권 행사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