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에서 가장 먼저 출시하는 LG 올레드 AI ThinQ(모델명: 77/65/55CX)는 올 초 열린 ‘CES 2020’에서 TV 부문 ‘최고상’을 받은 제품이다. LG전자는 이날 65, 55형 신제품을 국내에 먼저 출시한 후 내달 77형까지 라인업을 확대한다. 이달 말부터는 미국서도 출시한다.
‘갤러리 디자인’을 적용한 신제품(모델명: 77/65/55GX)은 고객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반영한 제품이다. 디자인과 기능 차별화를 넘어서 고객이 TV를 설치하는 공간까지 고려한 또 한 번의 폼팩터(Form Factor) 혁신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 제품은 외부 장치가 필요 없이 화면, 구동부, 스피커, 벽걸이 부품 등을 모두 내장했다. 기존 벽걸이형과 달리 TV 전체를 벽에 밀착시켜 몰입감과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다. 이달 말 한국과 미국을 시작으로 순차 출시된다.
해외 유력 매체들도 갤러리 디자인을 극찬했다. IT 전문매체 ‘톰스가이드(Tom’s Guide)’는 “미니멀 디자인이 벽걸이 TV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고 말했고, ‘디지털트렌드(Digital Trends)’는 “대다수 예술품보다 얇은 두께로 설치돼 미술관에 온 듯한 느낌”이라고 호평했다.

‘월페이퍼(Wallpaper)’ 디자인을 적용한 신제품(모델명: 65WX)도 4월에 출시된다. 이 제품은 두께가 4밀리미터(mm)에 불과해 마치 그림 한 장이 벽에 붙어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LG전자는 77형이 추가된 LG 시그니처 올레드 8K(모델명: 88/77ZX)도 내달부터 순차 출시한다. 이 제품은 백라이트가 필요 없이 약 1억3000만 개 서브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 더욱 섬세한 화질을 표현한다. 수평∙수직 방향 화질선명도(CM) 모두 90% 이상의 ‘리얼 8K’를 구현한다. 77형 신제품은 벽걸이 설치 고객들을 위해 갤러리 디자인을 적용했다.
2020년형 LG 올레드 AI ThinQ는 보다 강력해진 인공지능 프로세서 ‘알파9 3세대(α9 Gen3)’로 보고 듣는 경험인 TV의 본질을 업그레이드했다.
이 프로세서는 100만 개 이상의 영상 데이터와 1700만 개 이상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인공지능 화질 Pro’ 기능은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영상의 장르를 스스로 구분해 최적의 화질을 제공한다. 독자 개발한 ‘업스케일링(Upscaling)’ 기술이 선명한 화질을 구현한다. 기본적인 영상 품질을 높여주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 얼굴과 글씨도 인식해 더 또렷하게 보여준다.
‘인공지능 사운드 Pro’ 기능은 2채널 음원을 가상의 5.1 입체음향으로 연출해준다.
LG전자는 신제품에 변화하는 고객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업계 최고 수준의 게이밍 기능을 탑재했다.
‘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 호환 기능은 업계 최초로 적용됐다.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은 외부 기기의 그래픽카드와 TV 화면의 주사율을 일치시킨다.

신제품은 고품질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즐기기에도 제격이다. ▲주변 밝기나 장르에 따라 최적의 화면을 제공하는 ‘돌비비전(Dolby Vision) IQ’, ▲감독이 의도한 색감과 분위기를 살려주는 ‘필름메이커모드(Filmmaker Mode)’ 등도 지원해 시청자에게 보다 생생한 화면을 제공한다.
새롭게 추가된 ‘LG 루틴’ 기능은 “좋은 아침” 한 마디만으로 고객이 매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가전들을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다.
국내 출시 제품은 ‘네이버 클로바’, ‘구글어시스턴트’ 등에 이어 ‘카카오i’와도 연동한다.
이날 국내 출시한 LG 올레드 AI ThinQ(65/55CX)의 출하가는 각각 500만 원, 280만 원이다. 이달 말부터 출시하는 갤러리 디자인 적용 신제품(모델명: 77/65/55GX)의 출하가는 각각 1250만 원, 560만 원, 310만 원이다.
LG전자는 이달 말까지 신제품을 구매하는 국내 고객들에게 모델에 따라 최대 100만 원 상당 캐시백을 제공한다. 2019년형 제품을 포함한 LG 올레드 TV 전 모델 구매시에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왓챠플레이(WATCHA PLAY)’ 6개월 무료 이용권도 증정한다.
LG전자 HE사업본부장 박형세 부사장은 “TV의 본질과 편의성을 모두 높인 올레드 TV를 앞세워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프리미엄 TV 시장을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