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임기 중 가장 큰 이슈였던 'DLF 사태'에 대해서는 개별 은행과 은행장들에게 내린 징계에 대한 비판이 합리적이지 않다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금융회사에 대한 상시감시체계 강화를 제안했다.
윤 원장은 서면으로 진행된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히고 현재까지의 임기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그는 지난 2년 간의 임기를 통해 소비자 보호 강조 메시지가 전달됐다는 점을 가장 높게 평가했다. 이른 바 '금융회사와의 전쟁' 발언에 대해서도 본의는 아니지만 소비자 보호에 대한 메시지 전달은 충분히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보호를 하려면 기존 생각과 다른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고 관철시키려다보니 본의는 아니었지만 (금융회사와의 전쟁) 메시지 전달은 된 것 같다"면서 "여러가지 어려운 일이 많았지만 밑에서 보좌, 직언해준 직원들에게 고마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임기 내 가장 큰 이슈였던 'DLF 제재'에 대해서도 다소 오해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계를 몇 달 전으로 돌려도 똑같은 의사결정을 했을 것이라며 일부 소통의 문제도 있었다고 밝혔다.
윤 원장은 "기본적으로 과거의 한국금융이 소비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고 패러다임을 바꾸고 싶은 생각도 많았다"며 "(DLF제재에 대해) 금감원 내부적으로는 제재심이라든지 제도적 절차에 따라 정리를 했으나 밖에서는 우리 의도와 다르게 너무 과중한 벌을 줬다고 읽혔던 것 같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금융감독 책임을 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과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선택하는 단계에서 비판을 많이 들었는데 제재심을 비롯해 모두 전문성이 있어 굳이 문제삼지 않았다"며 "동일한 패키지가 증선위와 금융위까지 올라갔는데 전체적으로 큰 흐름을 다 인정받았다는 측면에서 그에 대한 비판은 합리적이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코로나19 사태 관련 국내 금융권 상황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며 정책적으로 다소 과잉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자금을 포함한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정책이 현장에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잘 닿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코로나 19 이슈가 길어지면 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은행권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며 "코로나 19가 얼마나 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배당과 장기성과급을 지급하기보다는 최대한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지난 3월부터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투자 과열 양상에 대해서도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윤 원장은 "국내 유동자금이 많고 금리는 낮아지면서 부동산도 못하게 억제하니까 뭔가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연금 자산을 비롯해 금융회사들이 받쳐주지 못하면서 동학개미운동이나 원유 ETN 과열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시스템 리스크화가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단기투자 중심의 동학개미군단의 경우 일부는 돈을 벌 수 있겠지만 나머지 대부분은 아니고 롱런할 수 없다"며 "주가가 떨어졌으니 장기로 가져가겠다면 찬성이지만 현재의 동학개미운동 상황은 투자의 기본에서 어긋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라임사태에 대해서 윤 원장은 "펀드 이관 전담 회사인 '배드뱅크'에 라임자산을 이관해서 정리하는 방향이 맞다"면서 "분조 쪽에서도 합동 검사가 진행되고 있고 제재 절차는 빠르면 6월 중에는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윤 원장은 "여러 사태를 통해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거울 삼아서 상시 감시체계를 보완하고 다른 쪽에서 종합검사를 해 유기적으로 끌고 갈 필요가 있다"며 "금감원도 일관성을 유지하고 소통, 노력한다면 국민들에게 조금씩 신뢰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